현재위치 : > 비바100 > Leisure(여가) > 여행

여기 아름다운 단풍에 그대를 물들이라

[은밀한 서울 투어] ⑤ 길상사
떨어지는 낙엽·목탁소리 울리는 고요한 산책길

입력 2014-11-12 13:27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DSC09775
법정 스님이 짓고 마지막 가는 길에 머물렀던 서울 성북동 ‘길상사’는 단풍으로 가을 색이 만연하다.(사진=김동민 기자)

 

 

법정 스님이 짓고 마지막 가는 길에 머물렀던 서울 성북동 ‘길상사’는 단풍으로 가을 색이 만연하다. 

 

법정 스님 유골 앞에 선 한 여인이 까만 봉지를 꺼낸다. 봉지 안엔 잘 익은 귤 4개가 들어 있다. 망설이던 그녀는 그 중 2개를 골라 스님에게 건넨다. 짧게 목례를 하고 돌아서던 그녀는 남은 귤 2개도 꺼내 놓는다. 

 

서울 신당동에서 왔다는 정현진(35)씨는 "내가 먹을 걸 남기고 돌아서는 발걸음이 무거웠다"며 "괜한 집착을 버리니 마음이 편하다. 스님이 강조하는 '무소유'에 대해 이제야 조금 알겠다"며 웃는다. 

 

비움을 생각하고 스스로를 돌아보는 장소, '길상사'는 잠시 눈만 돌리면 가까이 있는 휴식처이자 수양지다. 

 

 

DSC09735
‘길상사’에 들어가면 가장 먼저 본법당 극락전이 눈에 들어온다.(사진=김동민 기자)

 


◇ 자연을 즐기는 산책길

‘길상사’는 생각보다 넓다. 본법당 극락전을 중심으로 왼쪽엔 설법전이 있고 오른쪽엔 도서관이다. 

 

 

DSC09786
‘길상사’를 찾은 방문객들이 가을 단풍으로 어우러진 산책길을 걸으며 사진을 찍고 있다.(사진=김동민 기자)

 

 

절을 둘러보며 걷기 좋은 산책길이다. 떨어지는 낙엽을 몸으로 맞으며 고풍스런 건물 사이를 걷다 보면 보통의 등산에서 접할 수 없는 경험과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일정한 리듬으로 두드리는 목탁, 스님들이 외는 염불은 차라리 자연의 소리인 듯 고요히 산 속으로 울린다.  

 

 

DSC09750
일반인에게 개방된 침묵의 집.(사진=김동민 기자)



◇ 복잡한 마음을 정리하는 명상의 길

복잡한 머릿속이 한결 가벼워지는 사색과 명상의 공간, ‘길상사’ 침묵의 집이다. 곁에 있는 것이라곤 부처님이 그려진 두루마리가 전부다. 눈을 감으면 그림은 잠깐의 잔상으로 남다 사라지고 짙은 어둠이 주변을 삼킨다. 주변의 잡음이 사라지고 어둠이 익숙해질 즈음 마음은 고요해진다. 누구나 이용할 수 있고 이용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 이야기로 만나는 문학의 길

원미동
백석 시집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시인은 현실의 벽에 가로막혀 만날 수 없었던 자야를 향한 사랑을 시로 표현했다. 작품에서 ‘나타샤’는 자야를 의미한다. (사진제공=다산초당)

 

결국 이루지 못한 사랑, 시인 백석(본명 백기행 1996~1921)과 기생 자야(본명 김영환 1916~1999). 애틋한 두 사람의 러브스토리는 ‘길상사’를 있게 한 모티브다. 6.25 전쟁으로 남쪽에 홀로 남게된 자야는 백석을 기다리며 ‘길상사’가 있는 곳에 요정 ‘대원각’을 운영하다 1995년 사찰을 지어달라는 부탁을 남기고 전 재산을 시주했다. 절 한쪽에는 공덕주 길상화(김영환 법명)를 기리는 비석이 세워져 있다.

 

 

DSC09760
법정 스님의 영정이 모셔져 있는 진영각.(사진=김동민 기자)

  

 

안쪽으로 조금 더 들어가면 불교인이자 문학가인 법정 스님의 영정과 유품, 유골이 모셔진 진영각이 있다. 글을 쓰던 연필과 만년필은 정갈하고 잘 길들여진 손때가 묻어난다. 스님 문장에서 느끼던 소박함과 깊이를 닮았다.  

 

 

DSC09756
잘 정돈된 산책길위에 가을 낙엽이 내려 앉아 있다. 계단 끝에 법정 스님의 마지막이 보존되어 있는 진영각이 보인다.(사진=김동민 기자)

 

 

길상사지도그리기_최종

 

 

김동민 기자 7000-ja@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