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비바100 > Life(라이프) > 하우징‧리빙

꿈꾸던 '안식처'가 빚더미에 묶인 '외딴섬'으로

[실버타운 A to Z] ④운영주체 재정상태 제대로 알자

입력 2015-02-09 09:00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2015020901010003254
입주자들에게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한 채로 현재까지 운영중인 인천 서구의 실버타운. (연합)

 

인천 서구의 한 실버타운. 5층 규모의 건물 중 3층과 4층은 실버타운, 나머지 건물은 암 환자를 위한 요양병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50여명을 수용할 수 있는 이 실버타운은 두 개의 방만 남아있을 뿐, 대부분 방이 입주자들로 들어차 겉보기에는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듯이 보였다.

하지만 실상은 달랐다. 입주 당시 광고했던 요양시설, 목욕탕, 양질의 식사 등의 서비스가 제대로 제공되지 않고 있던 것. 그러나 이 같은 실버타운의 약속 불이행에도 입주자들은 이곳을 떠나지 못하고 있다. 입주시 1인당 7000만~9000만원의 입주보증금을 내고 들어온 노인들은 보증금을 돌려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실버타운 측은 이미 160억원 상당의 빚을 지고 있었고 법인을 설립한 이사장은 입주자들의 보증금을 개인의 빚을 갚는데 사용해 횡령 혐의로 구속된 상태였다. 요양병원과 함께 운영되는 이 실버타운은 수익구조가 악화되자 요양병원을 이용하는 환자 중심으로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실버타운’에 입주한 노인들의 설 곳이 없어진 것이다.
 

21
이처럼 노년들의 안식처가 돼야 할 실버타운의 피해사례가 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사례가 입주보증금 문제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실버타운 30곳의 입주보증금은 480만원부터 9억2000만원까지 천차만별이다. 하지만 금액의 크고 작음과 상관없이 실버타운 운영주체의 재정상태가 빈약하다면 입주자들의 보증금은 안전하지 못하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경기 수원시에 위치한 실버타운, 유당마을 김영식 부원장은 “실버타운을 선택할 때는 운영주체를 최우선순위로 삼아야 한다”며 “운영주체는 재정운영과 직결되기 때문에 적지 않은 보증금을 보호하기 위해 반드시 확인해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입주보증금외에 운영주체의 재정건전성을 따져봐야 하는 이유는 또 있다.

현재 국내의 실버산업이 완벽히 자리잡고 있지 못한 상황에서 실버타운들이 수익을 내는 것은 쉽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재정건전성이 취약한 곳은 적자를 감당하지 못하고 2~3년 안에 문을 닫는 곳도 많기 때문이다.

이한세 스파이어 리서치&컨설팅 대표는 “우리나라의 실버타운은 수요자들이 원하는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수익을 얻기는 힘든 구조이기 때문에 국내 주요 실버타운의 운영주체는 대부분 종교·학교 재단으로 이뤄져 있다”며 “이들도 공익을 목적으로 사업을 진행중이지만 몇 년간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종교법인이나 교육법인을 제외한 실버타운 운영주체 중 현재 가장 재정이 탄탄한 것으로 알려진 곳은 삼성생명 공익재단이다.

삼성생명 공익재단은 현재 경기 용인시에 노블카운티 실버타운을 운영중이다. 입주자들에게 3억1200만원의 입주보증금과 매달 180만 원의 관리비를 받으며 운영중이지만, 이곳도 수익창출이 쉽지 않다고 이한세 대표는 설명했다.

최근 삼성그룹의 뒤를 이어 롯데그룹이 실버타운 조성 검토에 나서면서 실버타운 수요자들이 재정이 안정된 실버타운을 고를 수 있는 선택지가 넓어지게 될 전망이다.

 

권성중 기자 goodmatter@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