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정치 · 정책 > 외교 · 통일

[창간4주년] 북·중·러·유럽 잇는 '철의 실크로드'… 기술적 국제협력 급선무

[新남북경협! 불황 돌파구 찾는다] 동아시아철도공동체 성공요건은?

입력 2018-09-14 07:00 | 신문게재 2018-09-14 30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경의선·동해선남북철도연결구간열차시험운행YONHAPNO-4749
지난 2007년 5월 경의선 남북철도 연결구간 열차 시험운행 모습(연합)

 

문재인 대통령은 최근 4·27 판문점 선언과 광복절 기념사를 통해 ‘동아시아철도 공동체’ 구상안을 제시했다. 머지않아 구축될 남북종단철도를 시작으로 중국-러시아-몽골 등 동아시아 전역을 가로지르는 철도길을 열고 남북관계는 물론 동아시아 국가간 평화 체제를 정착시키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현재 한반도 정세는 지난 4월 열린 판문점 남북정상회담을 시작으로 어느 때보다 빠르게 급변하고 있다. 여기에 북미 정상회담까지 무사히 성사되면서 북한의 비핵화 실현 가능성에 더욱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동아시아철도 공동체 구상안이 먼 미래가 아닌 눈 앞의 현실로 다가온 셈이다.

앞서 문 대통령이 거듭 강조한 동아시아 철도 공동체 제안은 단순히 남북관계 개선에 만 중점을 둔 구상이 아니다. 한반도 평화 체제를 기반으로 남북과 중국, 러시아, 몽골 등 은 물론 미국, 일본 등 전세계 국가가 공동의 이익을 취할 수 있는 경제적 모델로서 의미가 크다. 동아시아철도 연결이 현실화될 경우 개성공단에서 생산된 물품이 복잡한 절차 없이도 유럽까지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는 이점이 발생한다. 즉, 지금까지는 수 차례의 환적을 거쳐 물품이 전달됐다면, 앞으로는 동아시아철도를 통한 최단거리 운송이 가능해져 경제적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된 것이다. 

77

동아시아철도 공동체가 구현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각 나라별 철도환경 조사를 비롯해 사업진행을 위한 국제협력 등이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나라별로 철도 궤도 크기 등 기술적인 차이가 크기 때문에 국제협력을 기반으로 한 연구개발이 중요하다.

국내에서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철도연)이 정부의 요구에 발맞춰 남북 및 대륙철도 연결 등 동아시아철도 공동체 구현을 위한 기술연구 개발에 착수했다. 철도연은 환승·환적 또는 열차바퀴 교환 없이 남북 및 대륙철도를 달릴 수 있는 궤간가변대차를 개발했으며, 관련 기술을 나진·하산 등 동북아 지역에 적용하기 위한 협력을 추진 중이다.

또한 철도사업 추진을 위한 국제협력에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철도연은 지난 4월 러시아 철도기술연구원과 대륙철도 연결을 위한 연구개발 및 기술협력 협약을 맺었다. 지난 5월에는 미국교통기술센터와 철도기술 부문에서 협력키로 했다. 철도 시험인증과 철도안전에서 공조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올해 10월에는 중국 베이징에서 기술교류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나희승 철도연 원장은 “남북 및 동아시아 철도연결은 아태 경제권을 연계해 국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필수 불가결한 요소”라면서 “궤간가변대차 등 동아시아 공동화차 상호연계 기술을 개발해 동아시아 철도공동체 구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계풍 기자 kplee@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