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사회 > 노동 · 환경

인천 ‘붉은 수돗물’ 초동 대처 미흡과 관리 부실로 사태 커져

입력 2019-06-18 12:48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인천 '붉은 수돗물' 사태 설명하는 환경부<YONHAP NO-2024>
김영훈 환경부 물통합정책국장이 18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환경부에서 인천 ‘붉은 수돗물’ 사태의 원인조사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연합)

 

인천시 ‘붉은 수돗물 사태’는 무리한 수계전환과 초동 대처 미흡, 관리 부실 등이 합쳐져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는 18일 오전 브리핑을 열고 인천 지역 붉은 수돗물 사태 중간 조사 결과와 대책을 발표했다. 인천 붉은 수돗물 사태는 공촌정수장에 원수를 공급하는 풍납취수장과 성산가압장이 전기 점검으로 가동이 중지됨에 따라 인근 수산·남동정수장 정수를 수계전환해 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지난달 30일 오후 1시 30분경 인천시 서구지역에서 최초로 민원이 접수돼 사고가 알려졌다. 발생 4일 후인 지난 2일부터는 영종지역, 15일 후인 13일부터는 강화지역까지 수도전에 끼워쓰는 필터가 변색된다는 민원이 발생하는 등 사고발생 20일째인 현재까지 민원이 계속 되고 있다.

환경부 조사에 따르면 이번 붉은 수돗물 사태의 직접 원인은 무리한 수계전환이었다. 평상시 공촌정수장에서 영종지역으로 수돗물을 공급할 때는 자연유하방식으로 공급한다. 이번 수계전환 시에는 압력을 높여 역방향으로 공급했다. 역방향 수계전환 시에는 관흔들림, 수충격 부하 등의 영향을 고려해 충분한 시간을 갖고 이물질 발생 여부를 확인하면서 유량을 서서히 늘려야 한다.

하지만 이번에는 유량이 2배 가량 급격히 늘면서 관벽의 물때가 떨어져 관 바닥 침전물과 함께 검암·검단으로 공급돼 사건이 발생했다. 또 5시간 후 공촌정수장이 재가동될 때 기존 공급방향으로 수돗물이 공급되면서 관로 내 혼탁한 물이 영종도 지역까지 공급됐다.

인천시의 사전 준비 미흡은 물론 사후 관리·대처 등이 총체적으로 부실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인천시는 밸브 조작 단계별 수질변화 확인 계획을 수립하지 않는 등 수계전환 준비 미흡으로 사태를 일으켰다. 사고 발생 후 정수지의 탁도가 기준 이하로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지만 조사 결과 탁도계가 고장나 정확한 탁도 측정이 이뤄지지 않아 이물질 공급이 계속됐다.

관망의 높고 낮음을 표시한 종단면도가 없어 관저부 등 배수지점 확인이 쉽지 않아 방류가 지연된 점도 사태 장기화의 원인이 됐다. 환경부 관계자는 “인천시의 초동 대처와 사후 관리가 미흡했다”고 판단했다.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에서 분석한 1071건(16일 기준) 수질검사 결과에서 먹는물 수질 기준을 초과한 사례는 9건이었다. 재검사를 실시한 결과 모두 기준을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영종지역 26개 학교 수질분석 결과 잔류염소 등 17개 항목이 모두 먹는물 수질기준 이내로 확인됐다.

정부는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환경공단의 수질분석과 옥내배관 세척을 계속 지원하고 사고 초기부터 지원해 오던 병입수돗물, 수질분석장비, 급수차 등도 지속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와 인천시는 수돗물 수질 회복을 위해 이물질 공급소 역할을 하고 있는 공촌정수장 정수지 내의 이물질부터 우선적으로 제거하고 이후 송수관로, 배수지, 급수구역별 소블럭 순으로 오염된 구간이 누락되지 않도록 배수작업을 하기로 했다.

18일까지 4곳의 정수지 청소를 마무리하고 심야시간을 이용해 19~23일 송수관로 이물질 등 오염수에 대한 배수작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22일부터는 급수구역별 민원발생 등을 고려해 배수 순서를 결정하고 매일 급수구역별 10개조를 투입해 단계적으로 공급을 정상화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늦어도 29일까지 수돗물 수질 정상화를 완료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재발 방지를 위해 정수장 중심의 물공급 관리체계를 급·배수관망으로 확대해 사고징후를 실시간으로 감시·예측하는 시스템을 적극 도입하고 상수관망 유지관리 개선 종합 계획도 수립할 계획이다.

이어 관망 기술진단을 의무화해 진단 결과에 따라 관망청소를 주기적으로 실시하도록 법제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향후 이러한 사태 발생에 대비해 유역별 상수도지원센터를 설치하고 관망분야 전문인력 양성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전문가 합동 원인조사반 조사결과 백서를 올해 7월까지 발간·배포하고 식용수 사고 대비 지자체·유관기관 공동연수회(워크숍)도 7월 중에 개최할 계획이다. 

세종=이원배 기자 lwb21@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