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용대출주택담보대출 금리 (연합뉴스 자료 이미지) |
시장 금리 상승, 신용대출 규제를 위한 우대금리 축소 등의 영향으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 ‘빚투’(대출로 투자) 소비자들의 부담이 갈수록 커질 전망이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 4대 시중은행의 25일 기준 신용대출 금리(1등급·1년)는 연 2.59∼3.65% 수준으로 지난해 7월 말(1.99∼3.51%)과 비교해 0.6% 포인트나 올랐다.
주택담보대출 금리(코픽스 연동)도 연 2.34∼3.95%로 작년 7월 말(2.25∼3.95%)보다 최저 금리가 0.09%포인트 상승했다.
신용대출 금리가 6개월 새 0.6% 포인트나 뛴 데는 신용대출 지표금리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은행채 1년물(AAA·무보증) 금리가 작년 7월 말 0.761%에서 지난 26일 현재 0.856%로 반년 새 0.095% 포인트 높아진데다, 작년 10월 이후 금융당국이 본격적으로 ‘신용대출 조이기’에 나서면서 은행들이 우대금리 폭을 크게 깎은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신용대출도 약정에 따라 3개월, 6개월 단위로 현시점의 기준금리를 적용받는 경우가 많다”며 “신용대출로 2억 원을 빌렸는데 금리가 0.5% 포인트 올랐다면, 연간으로는 100만 원이나 이자가 늘어나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유혜진 기자 langchemist@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