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유행을 앞둔 고비지만 경제와의 조화도 잃지 않아야 한다. 민간기업에는 공공기관 수준의 근무형태 개선이 어렵다. 적정 비율의 재택근무 등을 적용하기 힘든 사업장의 사정은 고려해야 한다. 전체 3분의 1 수준의 재택근무가 어렵다면 마스크 착용과 근무자 간 거리두기, 주기적 소독 등 방역 강화로 대체해야 할 것이다. 물론 지금은 수도권을 비롯한 전국 확산세 진정이 급선무다. 그러지 못하면 4분기 성장률 반등도 없다. 코로나19 상황이 더 악화하지 않고 의료를 비롯한 모든 시스템이 유지되는 게 중요하다.
이런 기준은 경제에도 적용된다. 한 달 여 뒤에 주 52시간제가 50인 이상 사업장에 적용되는데도 속수무책이다. 탄력근로시간 연장이나 유연근무제 도입은 재택근무 분위기가 뒤덮어버린 분위기다. 보완 입법에 나서야 하는데 일의 우선순위는 정반대로 가고 있다. 집단소송이나 유보소득 과세, 중대재해 처벌 등 경제에 독이 되는 사안에만 매달리는 것도 이상하다.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에 관한 법률에 대해서는 처벌 범위를 더 넓히려고 안달이다. 강력한 방역 조치 뒤에서 기업에 중복 규제를 하는 모습이다. 불합리한 대응이 안타깝다.
부동산 대책은 또 신뢰가 땅에 떨어졌다. 국민 과반이 그렇다는 데도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호텔방이 질 좋은 전세주택이 될 것이라며 호언장담하고 있다. 방역 조치를 2단계로 올렸을 때의 경제적으로 위중한 대가도 미리 살펴봐야 한다. 서울시가 ‘1천만 시민 멈춤기간’을 선포했지만 경제는 멈춰 세울 수 없다. 업종별 성격을 감안하면서 생산라인이 멈출 우려가 있는 회사는 적극적으로 배려해야 한다. 방역과 경제는 동전의 양면과도 같다. 코로나19 대확산의 고리를 단기간에 끊어내면서 반등 시점이 늦춰지지 않도록 경제도 비상하게 잘 챙겨야 한다. 정부가 일부 경제지표 선방에 도취해 있을 때는 더욱 아닌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