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증권 > 정책

‘기울어진 공매도 운동장’…개미 공급물량 확보 최대 관건

정부, 5월3일 공매도 부분재개 발표
대주 시스템 확대·개편해 물량 확보
기관·외국인에 대주물량 요구할수도
전문가 “모든 투자자 시스템 참여해야,
개인만 들어가면 여전히 기운 운동장”

입력 2021-02-04 16:44 | 신문게재 2021-02-05 1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21020421
 

 

주식을 빌려 판 뒤 가격이 떨어지면 되사서 갚아 시세차익을 얻는 ‘공매도’가 5월 3일 일부 주식을 대상으로 재개하는 가운데, ‘기울어진 운동장’이 평평해졌는지 관심이다. 가격이 오르면 쪽박이다. 게임스톱이 대표적 사례다.

이런 공매도는 기관과 외국인의 전유물이다. 월등한 정보력과 자금력으로 가격 결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개미로 불리는 개인투자자도 공매도를 할 수 있지만, 거의 없다고 봐도 된다.

개미의 공매도 방법은 사실상 신용 대주(貸株) 뿐이다. A씨가 B종목을 사려는데 돈이 부족하다. 증권사에서 이 종목을 빌리려고 했다. 그런데 증권사에 이 종목이 없다. A씨는 증권사에서 돈을 빌리는 대신 B종목을 신용 대주에 활용해도 된다고 동의한 다른 개인에게서 B종목을 빌릴 수 있다. 개인 간 매칭이다. 2019년 연평잔 기준 개인의 공매도 규모는 230억원, 전체 15조원의 0.15% 불과하다.

때문에 개인은 공매도 재개에 반대한다. 주식을 쉽게 빌릴 수 없기 때문이다. 정부는 개인이 공매도를 할 수 있도록 대주 시스템을 확대하겠다고 했다.

 

 

21020420
그래픽=연합뉴스

 


이 대주 시스템에 누가 주식을 줄 것인가. 정부가 기관이나 외국인에게 대주 시스템에 채워넣을 주식을 요구할 수 있다. 또 개인끼리 주식을 빌리고 빌려주는 방법이 있다. 현재 대주 물량 2조~3조원을 확보했으며, 5월 3일 공매도가 가능한 코스피200, 코스닥150을 구성하는 대부분 종목은 대주가 가능할 것으로 정부는 예상한다. 앞으로 신용융자를 취급하는 모든 증권사의 참여를 유도해 개인 공매도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이겠다는 계획도 있다.

이진우 경제평론가는 “개인들이 사용하는 대주 시스템에 공매도 물량이 넉넉하지 않을 수 있다. 기관과 외국인은 개별 네트워크를 통해 많은 주식을 서로 빌릴 수 있다”고 했다. 개미들에게 여전히 기울어진 운동장이란 지적이다.

단, 공매도 때 기관과 외국인이 개인을 위해 정부가 만든 대주 시스템만 이용하면 환경이 비슷할 수 있다. 그런데 외국인들이 이렇게 할까. 기관이 과연 그럴까.

조동석 기자 dscho@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