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오피니언 > 사설

[사설] 김치 공정, 삼계탕 공정… 언제까지 바라만 볼 것인가

입력 2021-03-30 15:47 | 신문게재 2021-03-31 19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김치 수출액이 지난해 사상 최대치 라지만 무역수지는 변함없이 적자다. 수출량은 수입량의 5분의 1에 못 미친다. 국내 연간 김치 소비량의 15%가 수입 김치다. 수입 김치의 99%를 중국산이 장악한다. 종주국 한국에서 먹는 수입 김치의 99%는 중국산인 것이다. 대상은 다르지만 중국 내 삼성폰 점유율 1%에 미달한 사실과 대조된다. 절임채소 파오차이가 김치의 원조라더니 이번엔 삼계탕의 원조가 중국 광동식 라오훠징탕이라고 우긴다. 조리법과 유래, 역사성이나 옛 문헌 기록은 이들에게 중요치 않다. 의식주의 모든 고유문화를 중국 것으로 둔갑시킬 판이다.

한술 더 떠 한국이 중국 문화를 훔친다는 식으로 적반하장의 주객전도를 서슴지 않는다. 그러면서 국내 운동선수나 배우를 조선족으로 소개하고 윤동주 시인을 중국인에 포함시킨다. 인류무형무산에 등재한 아리랑에 대한 미련도 여태 못 버리고 있다. 그러면서 한국발 초미세먼지가 상하이를 오염시킨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문명비평가 기 소르망의 저서 ‘중국이라는 거짓말’을 떠올리는 건 자연스럽다. 한복(韓服)을 한푸(漢服)라고 억지 부리는 행태가 딱 그러하다. 대꾸할 가치조차 못 느끼더라도 적극적으로 대처할 사안이다.

중국 자본의 침투에 대해서는 우리 잘잘못도 살펴볼 부분은 있다. 최근 일부 드라마의 중국산 PPL(제품협찬)으로 뭇매 맞은 사실이 그러하다. 드라마에서 중국 비빔밥 즈하이궈를 먹으며 한국 전통 음식을 중국산으로 보이게 만들었다. 한국 드라마의 국제적 인기도를 감안할 때 왜곡된 역사를 해외 시청자에게 자청해 보여준 셈이다. 전통문화 다음은 역사다. 중국은 치밀한 국가 주도로 고구려를 중국 지방사에 편입시키기도 한다. 이는 영토 침탈행위다. 사드 배치 이후 중국의 경제적·문화적 보복 여파가 사라지지 않은 와중이다. 적대시하자는 게 아니라 당당히 국권을 지키자는 것이다.

경제적 측면에서도 반드시 지켜야 할 것들이다. 이를 위해서는 이탈리아 파스타나 일본 스시처럼 김치 등 우리 음식의 학문적인 체계부터 구축해야 한다. 중국 전투기가 대한민국 방공식별구역을 제집처럼 휘젓는 데도 멀거니 바라보는 의식으로는 김치 주권, 삼계탕 주권을 챙길 수 있다. 어물어물 대처하면 냉면이나 비빔면도 량미엔(凉麵)이 원조라고 곧 주장할 것이다. 국수주의로서가 아닌 주권국가로서 정당하게 항의하고 상응하는 조치를 할 수 있어야 한다. 경제뿐 아니라 문화도 올바른 생산, 유통, 소비가 가능하도록 우리 자신이 먼저 챙기지 않으면 안 된다.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