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가운데)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해 7월 대구시 동구 신천동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를 방문, 1층에 마련된 아이디어카페를 둘러보고 있다.(연합) |
지난 2014년 9월 대구에 첫 모습을 드러낸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난해 7월 전국 17개 주요 시·도에 자리를 잡았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박근혜 정부의 핵심 국정 과제인 창조경제의 첨병으로서 중앙과 지방,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가교역할은 물론 지역 창업인의 꿈을 실현시키는 사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
정부는 창조경제혁신센터가 길지않는 연혁이지만 보육 기업의 신규채용이 증가하고 투자유치, 매출 증가 등의 구체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고 강조한다. 또 앞으로 본격적으로 자리를 잡으면 창조경제의 자생력을 키울 수 있는 핵심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같은 성과의 이면에는 각 센터별 전감기업들의 노력도 뒷받침 되었다.
삼성과 현대, LG, SK, 한화, 두산, 롯데, 포스코, 한진, 효성, KT, 네이버, CJ, 카카오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은 저마다의 강점을 갖고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지원하고 있다. 이들은 중소기업·스타트업 등에 노하우를 전수해 보다 빠른 성장을 돕고 있다. 단순히 대기업이 중소기업 등에 노하우를 전수하는 것을 뛰어 넘어 경제주체들끼리 아이디어를 나누고 함께 사업화를 고민하는 활동에 직접 나서고 있다.
현재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서울을 비롯 광역권과 제주와 세종시 등 총 18곳에 거점을 마련하고 있다.
무엇보다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지원하는 대기업과 해당 지역 중소기업·스타트업들간의 교류가 침체된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어 높이 평가되고 있다.
정부는 창조경제혁신센터로 지역 내 벤처 인프라가 확대돼 향후 새롭게 태어날 수 많은 기업들에게 보다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전망한다.
뿐만 아니라 지역내 수 많은 스타트업, 벤처기업, 중소기업들과 지방자치단체가 함께 하는 사업인 만큼 다양한 분야에서 시너지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가 올해를 창조경제의 성과를 거둬들이는 원년으로 삼겠다고 밝힌 만큼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중심으로 기업 간 상생, 지역의 경제 성장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
이와함께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잇는 상생모델 강화와 함께 올해 1분기 내에는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에 ‘고용존’을 마련해 일자리 창출과 인재 양성에도 본격 나설 계획이다.
중앙과 지방 정부의 확고한 정책의지와 민간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 이른바 민·관 협치(Governance)가 이뤄낸 결과물로 평가되고 있다.
업계와 정부 관계자들은 센터의 출범초기에는 ‘창조경제의 모호성’에 우려를 보였지만 이제는 모두가 수긍하는 분위기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 센터가 ‘정권 홍보용’으로 끝나지 말고 진정한 동반성장의 모델로서 연속적으로 확대 발전되어 중앙과 지방, 대기업과 중소기업, 벤처기업을 잇는 진정한 가교가 되길 바라고 있다.
민경인 기자 mkibrdg@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