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카드뉴스

[카드뉴스] 점점 희미해지는 이산가족들의 목소리

입력 2018-08-24 17:10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1
2
3
4
5
6
7
8
9
10
11

 

“이름이 없어요? 다시 한 번 확인해볼게요”

불편한 몸을 이끌고 온 95살 할아버지도, 북에 두고 온 세 살배기 딸이 눈에 밟힌다는 90세 할머니도, 아쉬움에 한동안 자리를 뜨지 못했다.

제 21차 남북 이산가족 1차 상봉 행사가 20일 금강산에서 열렸지만 5만 6,862명 중 가족을 만날 수 있는 행운은 100명에게만 주어졌다. 거의 로또 당첨과 다름없는 셈이다.

현재 통일부에 등록된 이산가족은 13만 2,603명이다. 생존자는 5만 6,862명이고 그 중 63%가 80세 이상 고령자다. 때문에 어렵게 당첨 된다고 해도 건강 악화로 상봉을 포기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실제로 이번에 열린 이산가족 상봉 행사에서 남측 이산가족 2명이 단체상봉을 포기했다. 568.9대 1에 달하는 경쟁률을 뚫고 성사된 꿈같은 만남이건만 건강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포기한 것이다.

남과 북이 분단 된지 65년이 지났지만 이처럼 제한된 상봉 규모와 횟수로 볼 때 갈수록 고령화되는 이산가족이 서로 만날 수 있는 물리적인 시간이 그리 많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당첨되지 못해 체념하거나 눈물 짓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역대 정부 이산가족 상봉 횟수는 지금껏 20차례 정도였다. 하지만 이마저도 북과의 관계에 영향을 많이 받아 금강산 관광객 피살, 천안함 사건, 연평도 폭격 등과 같은 사건이 터지면 남북 이산가족 상봉이 중단되곤 했다.

분단 이후 신청인의 57%인 7만5741명이 사망했고 현재도 매년 3600여명의 이산가족이 사망하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소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이산가족 상봉을 더 많이, 더 자주 진행해야 하는 이유다.

또한 이산가족으로도 속하지 못하는 3만 2000여명이 더 있다. 또 다른 이산가족, ‘탈북민’이다. 통일부와 대한적십자사가 탈북민을 배려해 북에 두고 온 가족들에게 보낼 영상편지를 찍을 수 있게 배려했지만 사실상 상봉은 불가능하다.

혹여 상봉이 가능해진다고 해도 선뜻 나서기엔 걱정이 앞선다. 자신과 북에 있는 가족들의 안위가 걱정되기 때문이다.

하루빨리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를 추진하고 그 규모를 확대해야 한다. 생사확인이라도 하게 해 달라는 이산가족들의 목소리가 점점 희미해지고 있다.

(사진 출처: 게티, 연합뉴스)


김지은 기자 sooy09@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