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이 13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2년 6월 고용동향을 발표하고 있다.(연합) |
지난달 취업자가 22년 만에 가장 많이 늘었지만 증가폭은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 기저효과 등으로 향후 고용시장 전망은 불투명하다는 전망이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6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취업자는 2847만8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84만1000명(3.0%) 증가했다. 이는 6월 기준 지난 2000년(87만7000명) 이후 22년 만에 최대폭 증가이다.
하지만 전월(93만5000명)보다 9만4000명이 축소되며 증가폭은 다소 둔화됐다. 취업자 증가폭이 둔화된 경우는 지난 3월 이후 석 달 만이다. 올해 1월(113만5000명)과 2월(103만7000명)에는 취업자가 전년 대비 100만명 이상 증가했지만 3월(83만1000명)에는 증가폭이 꺾였다. 이후 4월(86만5000명)과 5월(93만5000명) 다시 증가폭을 늘렸지만 지난달 폭이 다시 둔화된 것이다.
취업자 증감을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7만7000명, 6.8%)과 제조업(15만 8000명, 3.6%), 운수 및 창고업(12만6000명, 8.0%) 등에서 증가했다. 반면 금융 및 보험업(-5만9000명, -7.2%), 도매 및 소매업(-3만7000명, -1.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개인서비스업(-1만6000명, -1.4%) 등에서는 감소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89만9000명 증가했지만 임시근로자는 5만3000명, 일용근로자는 7만9000명 각각 줄었다.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12만1000명,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6000명이 각각 늘었지만 무급가족종사자는 5만3000명 줄었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올해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연령별 취업자 증감을 보면 60세 이상에서 47만2000명, 50대에서 24만5000명, 20대에서 11만7000명, 30대에서 1만8000명, 40대에서 2000명이 각각 증가했다. 지난달 증가한 취업자 중 절반 이상은 60세 이상이 차지했다. 이는 정부 직접 일자리와 해당 연령의 인구가 54만6000명 증가한 영향이 크다. 60세 이상과 50대(4만9000명)를 제외한 전 연령대의 인구는 감소했다.
고용률(15세 이상)은 62.9%로 전년 동기 대비 1.6% 상승했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9.1%로 2.0%포인트 올랐다. 실업자는 88만8000명으로 20만5000명(-18.7%) 줄었고 이에 실업률은 3.0%로 0.8%포인트 하락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588만2000명으로 45만6000명(-2.8%) 감소했다. 연로(12만1000명, 5.1%)는 증가했지만 쉬었음(-17만4000명, -7.7%), 재학·수강 등(-11만8000명, -3.5%) 등에서 감소했다. 취업준비자는 76만1000명으로 9만6000명(-11.2%) 줄었다. 구직단념자는 43만5000명으로 14만9000명 감소했다.
통계청 공미숙 사회통계국장은 “6월 고용동향은 일상회복 본격화에 따른 대면업종 개선 영향 등으로 취업자는 증가했고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는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고물가, 금리 인상 등으로 향후 고용시장 전망은 불투명하다. 우선 취업자 증가폭이 둔화됐다. 고용노동부가 집계·발표하는 고용행정 통계로 본 2022년 6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고용보험 가입자는 전년 동기 대비 47만5000명(3.3%) 증가해 4월(55만6000명)과 5월(52만2000명)에 비해 증가폭이 줄어들었다.
단기 고용 상황과 흐름을 볼 수 있는 지난달 계절조정 고용률은 62.2%로 전월(62.4%) 대비 0.2%포인트 내려 3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 계절조정 실업률은 2.9%로 전월(2.8%)에 비해 0.1%포인트 올랐다.
정부는 4분기에 직접일자리 사업 종료 등으로 취업자 증가폭은 둔화되고 내년에도 기저효과 등으로 증가폭 둔화는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취업자는 올해 60만명 증가하지만 내년에는 올해 4분의 1 수준인 15만명 증가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는 이에 노동시장 개혁과 규제 완화, 신기술 분야 인력양성 확대 등으로 시장 친화적 여건 조성 등을 통해 고용 창출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또 고물가에 따른 고용 취약계층 부담 경감을 위해 고용안전망도 확충하기로 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지난 12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코로나 고용 충격의 기저효과가 줄어들고 정부가 만들었던 단기 일자리 사업도 종료되면서 현재의 고용 회복세는 일시적 흐름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며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한 지속적인 금리인상은 금년 하반기, 어쩌면 내년까지도 노동시장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속가능한 고용 회복을 위해서는 고용 시장의 근본적인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며 “노동부, 기획재정부 등은 민간 주도로 일자리를 창출하는 환경 조성에 더욱 힘써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세종=이원배 기자 lwb21@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