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비바100 > Welfare(복지서비스) > 정부지원서비스

[정책탐구생활] 코로나19 발생 정확히 예측… 질병관리청 감염병연구시설 가보니

코로나19 대응 최전선… 질병청 유전자검사실
모의훈련 통해 ‘판코로나 검사법’ 미리 구축해
델타·오미크론 등 변이바이러스 계속해 ‘추적’
3년간 낮밤 바뀌어… 전문인력·예산확보 시급

입력 2022-10-24 07:00 | 신문게재 2022-10-24 14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KakaoTalk_20221021_180053027_01
지난 18일 출입기자단이 방문한 질병관리청 감염병연구시설 (사진=이정아 기자)

 

“중국 운남성이라는 곳에서 원인불명 감염병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곳에서 감염병에 옮은 사람이 한국으로 귀국해 사망하게 된다. 우리는 이 감염병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라고 부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발생한 지 어느 덧 3년에 가까운 시간이 흘렀다. 그런데 코로나19 발생 전 이를 가장 정확하게 예측한 곳이 있다. 바로 질병관리청 감염병진단분석국이다.

 

지난 18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에서 출입기자단을 대상으로 한 ‘감염병 아카데미’가 열렸다. 이날 김은진 질병청 신종병원체분석과장은 “당시 질병청 내부에서 우리나라가 그간 사스, 메르스 등의 코로나바이러스 경험을 계속해왔는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나타날 확률이 높지 않겠냐는 인식이 있었다”며 “그러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중국에서 발생한다는 시나리오를 갖춘 모의훈련을 실시했다”고 회상했다.

중국 우한에서 원인불명의 폐렴환자가 발생한 건 지난 2019년 12월 31일. 질병청 감염병진단분석국이 모의훈련을 실시한 건 2019년 12월 15일. 질병청이 코로나19 발생 이주 앞서 모의훈련을 시작한게 코로나19 방역의 ‘묘수’가 됐다.

김은진 과장은 “가장 중요한 건 모의훈련을 통해 판코로나(pan-coronavirus) 분석법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했다는 것이다. 코로나19 초기 어느 누구도 이 원인불명 폐렴이 코로나19라고 생각하지 못할 때 우리나라는 한발 앞서 판코로나 분석법 개발에 착수한 덕분에 비교적 빠르게 대응할 수 있었다”고 부연했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코로나19 초기 대응이 성공적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우리나라가 ‘코로나19 방역 모범 국가’로 평가받는 데는 감염병진단분석국의 역할이 컸다. 감염병 진단과 분석 그리고 이 결과를 정책으로 연결 짓는 과정이 모두 한 번에 이뤄질 수 있도록 조직을 정비했기 때문이다.

유천권 질병청 감염병진단분석국장은 “판코로나 검사법을 코로나19 초기 각 지자체로 빠르게 내려보냈다. 그리고 PCR 검사법도 민간에까지 공유해 코로나19 방역 대응이 원활히 이뤄졌다”며 “이처럼 실험분석부와 정책행정부가 합쳐져 유연한 대응이 가능한 게 저희 국의 특징이다. 앞으로 감염병 대응에 있어서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고 자신했다.
 

KakaoTalk_20221021_180053027
지난 18일 출입기자단이 방문한 질병관리청 감염병연구시설 (사진=이정아 기자)

 


◇유전자검사실… 델타·오미크론 최종 판정 내리는 코로나19 최전선

이날 출입기자단이 방문한 질병청 병원체 진단·유전체 분석 실험실에는 마스크, 장갑, 가운, 고글을 착용한 연구원들과 각종 장비들이 분주히 움직이고 있었다. 감염병 진단이 이뤄지는 이곳에선 오염의 근원을 없애기 위해 사람의 손을 최소화한다.

이지은 질병청 보건연구관은 “실험실은 검체에서 RNA(리보핵산)을 뽑고 시약을 디스펜서 장비로 돌리는 원웨이(One-way) 시스템으로 이뤄지는 구조”라면서 “공간 오염도를 최소화하고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도록 양성이 나온 환자 검체에 대한 추가적인 특성 분석은 층이 다른 염기서열분석실에서 분석한다”고 설명했다.

알파, 델타, 오미크론 등 코로나19 변이에 대한 최종판정도 이곳에서 이뤄진다. 김일환 보건연구관은 “오미크론 발생 당시에도 지자체에서 간이 PCR을 실시했는데 잡히는 변이가 없었다. 그때 긴급하게 받은 검체를 이곳에서 분석해보니 그게 새로운 변이 오미크론의 탄생이었다”고 말했다.

이렇듯 코로나19 변이를 추적하기 위해 PCR(유전자증폭) 검사로 유전체를 분석하는 일도 실험실의 또 다른 임무다. 유전체분석 방법으로는 전장유전체분석(whole genome sequencing)과 타겟유전체분석(Target Sequencing), 변이PCR분석(Genotyping) 등이 있다. 특히 전장유전체분석은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전자 3만개의 모든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코로나19 변이 분석의 핵심 중 하나다.

김은진 과장은 “바이러스는 새로운 변이가 계속 발생한다. 그러기 때문에 변화와 특성을 계속 관찰하고 분석해 대응하는 정책 근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며 “코로나19 첫 환자부터 현재까지 매일 바이러스를 분석하는 이 곳이 바로 코로나19의 ‘최전선’”이라고 강조했다.


◇낮밤 바뀐 일상·채워지지 않는 현원… 인력·예산 확보 ‘절실’

질병청 감염병진단분석국은 5개 권역별 질병대응센터와 국방부 등 31개소의 검사·진단·분석을 총괄하는 감염병 대응 컨트롤타워다. 코로나19 발생 후 감염병진단분석국에서 판코로나 방법의 코로나19 검사법을 전국 지자체에 보냈지만 염기서열분석(Sequencing)은 여전히 질병청에서만 가능했다. 그러다 보니 코로나19 발생 이후 한동안 직원들은 초과근무와 야근에 시달려야 했다.

 

김은진 과장은 “전국에서 검체가 질병청으로 왔기 때문에 코로나19 진단법이 민간에 퍼기지 전까지는 거의 초주검 상태였다. 2월이 지나고 괜찮아지려나 했는데 신천지 사태가 터졌다. 그해 상반기는 생각할 시간도 없이 전 직원들이 거의 24시간 대응 체제였다”고 말했다.

 

금세 끝날 줄 알았던 코로나19가 이어지고 낮밤이 바뀌는 일상이 지속되자 결국 이탈하는 인원도 생겼다. 질병청 관계자는 “언제 끝날지 모르는 상황에서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나타날 때마다 거기에 매달려야 했다. 가정이 무너진 직원도 있다. 결국 떠나는 직원들이 생겨났지만 그만큼 힘든 시기였기에 이해한다”고 전했다.

 

실제로 올해 10월 기준 질병관리청의 정원은 1626명, 현원은 1538명으로 총 88명이 결원이 다. 여기에 복지부가 내년도 감염병 대응 지원체계 구축 및 운영 예산을 전년 대비 34% 삭감한 9500억원으로 편성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정책이 축소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다.

 

다만 질병청의 감염병 방역대응 예산은 전년 대비 1645억원(10.3%) 증액된 1조7568억원으로 편성됐다. 날로 중요해지는 진단검사의 비중을 고려할 때 진단전문인력 양성과 교육에 대한 예산은 앞으로 과감한 추가 편성이 필요해 보인다.

 

이와 관련 질병청 관계자는 “향후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감염병이 계속 발생하리라고 본다. 문제는 이쪽 분야에서 일할 전문인력이 없다는 것. 인력 양성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예산과 인력을 동시에 갖추는 노력이 시급하다”고 조언했다.

 

오송=이정아 기자 hellofeliz@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