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금융 > 제2금융

금융지주사 계열 저축은행, PF 리스크 관리 총력

입력 2024-08-06 13:56 | 신문게재 2024-08-07 3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clip20240806121303
(사진=연합뉴스)

 

금융지주사 계열 저축은행들이 올해 담당 임원 선임을 통해 부동산PF 사업 ‘리스크 관리’에 나섰다. 금융당국이 부동산PF 사업 정리에 주력하는 가운데 발생할 수 있는 경영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책으로 풀이된다.

6일 각 저축은행이 자사 홈페이지에 공개한 수시공시에 따르면 KB저축은행, 신한저축은행, 우리금융저축은행, 하나저축은행 등은 올해 총 20명의 임원을 선임했다. 이 중 60%(12명)가 준법감시, 내부통제, 위험관리총괄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이른바 ‘리스크 관리’ 임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밖에도 대표이사 4명, 기업·개인금융, IT 등 부문별 업무책임 임원 4명이 선임됐다.

회사별로 보면 신한저축은행은 전 우리은행 본부장을 지낸 박명훈 상무를 지난 4월 1일 선임했다. 박 상무의 업무 범위는 여신관리부 총괄로 부동산금융 정상화 지원을 함께 담당한다. 우리금융저축은행도 변의갑 전 우리은행 강북영업 본부장을 위험관리를 총괄하는 업무책임집행자로 맞이했다.

이처럼 저축은행이 리스크 관리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금융당국의 부동산PF 압박으로 인한 경영 리스크 관리 차원으로 풀이된다. 금융당국은 지난 5월 PF 사업성 평가 기준을 양호·보통·유의·부실우려 등 4단계로 세분화해 ‘유의·부실우려’로 평가받은 사업장에 대해 재구조화 계획을 제출하도록 했다.

금융당국이 부실우려’ 사업장에 대해서는 경·공매 매각을 추진하고 대출금의 75%까지 충당금을 쌓도록 요구하면서 저축은행의 충당금 규모가 크게 늘었다.

KB저축은행의 지난 2분기 충당금은 241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했다. 같은 기간 하나저축은행의 충당금은 40억원 늘어난 202억원, 우리금융저축은행은 271억원 증가한 344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일각에서는 저축은행이 이 정도의 충당금을 적립해도 PF 문제가 해소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상호저축은행업감독규정’ 개정 규정안에 따라 3분기부터 다중채무자의 대출에 대한 충당금 추가 적립 의무가 적용되기 때문이다. 저축은행은 금융사 5~6곳에서 대출받은 차주에 대해 일반 차주보다 충당금을 1.3배, 7곳에서 빌린 차주에겐 1.5배 더 쌓아야 하는 상황이다.

저축은행 측은 올해 단행된 인사는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만 이뤄진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신한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 업계 전반에 부동산PF 관련 이슈를 중요시하는 분위기가 있지만 이번 선임은 PF뿐 아니라 기업금융 관리 경험에 초점을 둔 인사”라며 “신한저축은행은 PF 규모가 크지 않고 연체율도 높지 않아 사후관리를 위해 충분히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금융저축은행 관계자는 “전임 리스크관리 본부장의 임기 만료로 선임한 것이라 조치 차원의 성격은 아니”라면서도 “지주계열이 아닌 중소저축은행의 경우 금융당국의 압박을 감내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낮춰 달라는 볼멘 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했다.

전문가들은 부동산PF 문제를 저축은행 업계가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로 판단하고 있다.

정준호 한국신용평가 금융·구조화평가본부 연구원은 “은행계열 저축은행의 주요 위험익스포저를 보면 부동산PF가 약 절반을 차지한다”며 “저축은행의 높은 레버리지 수준과 낮은 안전자산 비중에 구조적 취약성이 있다”고 말했다.

노재영 기자 noh@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