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지훈 목동힘찬병원 원장(정형외과 전문의) |
고관절은 양 다리의 대퇴골과 골반을 이어주며 체중을 지탱하고 기본적인 보행과 달리기 운동을 위한 기능을 한다. 인체 관절 중 어깨에 이어 두 번째로 운동 범위가 큰 관절로, 운동 범위가 큰 만큼 나쁜 자세나 무리한 동작이 통증을 야기할 수 있다.
고관절에 생기는 질환으로는 염증이 생기는 ‘고관절염’과 뼈가 괴사되는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가 비교적 흔하며 ‘고관절 주위 골절’ 등도 있다.
고관절염은 세균에 의한 감염성 고관절염과 오래 써서 연골이 마모되고 통증을 야기하는 퇴행성 고관절염이 대표적이다. 감염성 고관절염은 질병 진행 정도가 빠르고, 퇴행성 고관절염은 서서히 진행된다.
고관절을 보호하는 연골이 손상을 입게 되면 물이 차는 증상이 생기거나 활액막이 두꺼워지고 더 진행하게 되면 골 손상 등이 나타나 통증이 생길 수 있다. 고관절염은 우선적으로 약물과 물리치료를 한다. 만약 약물치료와 물리치료를 해도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받을 정도라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게 된다.
우리나라에 비교적 흔한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는 한 번 발병하면 괴사가 계속 진행될 수 있다. 건강한 뼈가 유지되려면 혈액순환을 통해 충분한 영양과 산소가 공급되어야 하는데, 뼈에 혈액 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뼈가 괴사한다. 고관절을 이루는 대퇴골 골두의 혈액 순환은 다른 부위에 비해 취약하다. 대퇴 골두의 크기에 비해 그곳으로 가는 혈관의 수나 크기가 작기 때문에 혈관 손상 또는 혈관 막힘으로 인해 무혈성 괴사가 발생하기 쉽다.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의 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진 게 없다. 위험인자로 과다한 음주, 장기간의 스테로이드 사용, 신장 질환, 루푸스, 장기 이식을 받은 경우와 유전적 요인이 꼽힌다. 그러나 위험 인자가 없어도 외상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대퇴 경부 골절이나 고관절 탈구처럼 대퇴골두로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손상되는 경우 괴사가 발생할 수 있다. 괴사가 일어나기 시작하면 처음에는 증상이 없다가 상당한 시간이 경과해 괴사 부위에 골절이 발생하면서 통증을 느끼기 시작하고, 땅을 디딜 때 통증이 생긴다. 또한 주위 근육 약화로 인해 저는 증상이 생길 수 있다.
대퇴골두 함몰 변형으로 고관절 운동 범위가 줄어들어 양반다리가 힘들고 대퇴골두 함몰이 심하면 다리 길이가 짧아진 것을 환자 자신이 느끼게 된다. 발병 후 3년 이내에 대개 대퇴골두 함몰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괴사된 부위의 크기와 위치다. 괴사된 부위의 크기가 클수록, 체중 부하의 위치일수록 괴사 부위의 골절이 진행되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백지훈 목동힘찬병원 원장(정형외과 전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