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왼쪽)이 21일 서울 용산구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한기정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오른쪽)과 함께 납품대금 연동제 현장 안착 공동 추진을 위한 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중기부) |
중소벤처기업부 이영 장관과 공정거래위원회 한기정 위원장이 간담회를 갖고 납품대금 연동제의 현장안착 공동 추진하기로 했다.
중기부는 21일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납품대금 연동제’ 공동 추진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납품대금 연동제 도입을 위한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상생협력법)’ 개정 이후 하위규정 정비, 제도 설명회 등을 추진해 온 이영 장관의 요청에 따라 이뤄졌다.
이 장관과 한 위원장은 연동제 시행을 준비하는 현재 시점에 두 부처가 더욱 협조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공감, 이 장관은 연동제 현장안착을 위한 원팀을 위해 현재 운영 중인 연동제 현장안착 TF에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이 공동의장을 맡아줄 것을 요청했다.
또한 중기부가 추진중인 동행기업 6000개사 모집을 위해 공정거래위원회도 로드쇼 공동개최 등에 함께 협조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한 위원장은 두 가지 요청사항에 대해 적극 검토하겠다고 화답하며, 연동제 현장안착에 함께 노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아울러 두 부처는 앞으로 3가지 사항을 함께 추진하기로 협의하며, 향후 추가적인 협력사항도 지속 논의하기로 했다.
우선 두 부처의 통일된 연동 표준약정서를 법 시행일 전까지 마련하며, 그동안 두 부처가 공동으로 추진해온 ‘납품대금 연동제 동행기업’ 모집을 위한 홍보를 더욱 강화키로 했다.
또한 관계부처가 공동으로 마련한 동행기업에 대한 인센티브에 정기 실태조사 면제, 연동실적에 따른 과태료·벌점 경감 등을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영 장관은 “납품대금 연동제의 성공을 위해서는 중소벤처기업부와 공정거래위원회가 원팀이 될 필요가 있다”면서 “조속한 연동제 현장안착을 위해 공정거래위원회가 앞으로 더 많은 역할을 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한기정 위원장은 “연동제 도입·정착을 위해 두 부처가 더욱 협조를 강화해야 한다는 점에 크게 공감한다”면서 “하도급법 개정을 하루 빨리 마무리한 뒤 연동제 안착을 위한 다양한 협조방안을 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 적극 검토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중소벤처기업부는 ‘납품대금 연동제 공식 누리집(납품대금 연동제.kr)’을 공개했다. 누리집은 ‘납품대금 연동제 동행기업’의 명단과 참여 현황을 소개하고 있으며, 기업들은 누리집을 통해 납품대금 연동제의 개념, 실제사례, 도입 방법을 확인하고 약정서 작성 체험, 동행기업 참여 신청까지 할 수 있다.
양길모 기자 yg102@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