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생활경제 > 중견 · 중소 · 벤처

2023년 5월 경기전망지수 83.8… 7개월 만에 최고치

전월대비 3.1p 상승...하락세 멈추고 소폭 반등

입력 2023-04-27 12:00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5월 중소기업 경기전망지수 83.8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 4월 13일부터 20일까지 315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023년 5월 중소기업 경기전망조사’를 실시한 결과, 5월 업황전망 경기전망지수(SBHI)는 83.8로 전월대비 3.1p 상승했다. (자료=중기중앙회)

 

5월 중소기업 경기전망지수가 지난해 10월 전망치 이후 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소폭 반등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 4월13~20일 315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023년 5월 중소기업경기전망조사’를 실시한 결과, 5월 업황전망 경기전망지수(SBHI)는 83.8로 전월대비 3.1포인트(p) 상승했다.

경기전망지수는 지난해 10월 전망치(85.1) 이후 7개월 만에 최고치로 나타났지만, 전년동월에 비해서는 3.8p 하락했다.

제조업의 5월 경기전망은 제조업은 전월대비 0.2p 상승한 86.5이며, 비제조업은 전월 대비 4.4p 상승한 82.7로 나타났다. 건설업(81.3)은 전월대비 6.5p 상승했으며, 서비스업(83.0)은 전월대비 3.9p 상승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에서는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 제품(10.8p↓) △기타 기계 및 장비(4.8p↓) 등 9개 업종은 하락한 반면,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13.9p↑) △섬유제품(9.3p↑)을 중심으로 14개 업종은 상승했으며, 음료(100.8)는 100을 넘기며 경기호전을 전망했다.

비제조업에서는 건설업(74.8→81.3)이 전월대비 6.5p 상승했으며, 서비스업(79.1→83.0)은 전월대비 3.9p 상승했다.

서비스업은 △운수업(6.5p↓) △부동산업(0.9p↓) 등 3개 업종에서 하락한 반면, △교육서비스업(8.4p↑) △도매 및 소매업(5.9p↑) 등 7개 업종은 상승했다.

전산업 항목별 전망으로는 △내수판매(80.6→84.6) △수출(86.7→86.9) △영업이익(78.2→81.0) △자금사정(78.1→80.8)은 전월대비 상승했으며, 역계열 추세인 고용(93.6→95.2) 항목은 전월대비 상승해 인력부족 상태가 지속될 전망이다.

최근 3년간 동월 항목별 SBHI 평균치와 비교해보면, 제조업은 모든 항목에서 이전 3년 평균치보다 개선될 것으로 조사됐으며, 비제조업도 모든 항목에서 개선될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4월 중소기업들의 주요 애로요인으로 내수부진(59.5%) 비중이 가장 높았고, △인건비 상승(49.9%) △원자재 가격상승(37.3%) △업체 간 과당경쟁(34.3%) △고금리(25.9%)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3월 중소제조업 평균가동률 중소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2.6%로 나타났다. 전월대비로는 1.1%p 상승했고, 전년동월대비로도 0.2%p 상승했다. 기업규모별로 소기업(67.6%→68.6%)은 전월대비 1.0%p 상승했으며, 중기업(75.9%→77.0%)은 전월대비 1.1%p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양길모 기자 yg102@viva100.com 

   이 기사에 댓글달기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

이마트

청심플란트치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