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군위군도 대구 군부대 이전 유치를 위해 유치후보 시군들과 유치경쟁을 하고 있다. 사진=이재근기자 |
국방부는 “정주여건 확보 방안이 미흡하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추진 의지가 있는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대구시는 육군 제 2 작전 사령부 등 도심 내 군부대 7곳의 통합 이전을 국방부와 공식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한지 반 년이 지나도록 공식적인 군부대 이전 의지를 확인할 수 있는 양해각서조차 체결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종섭 국방부장관은 지난해 국정감사 때 “양해각서 체결에 대해 적극 검토하겠다”에 이어 올 3월, 5월까지 하겠다고 잇따라 밝혔지만 아직까지 실행되지 않고 있다.
임병헌 국민의힘 의원(국방위)은 당시 이와관련 “MOU는 구체적으로 세밀하게 결정을 짓는 건 아니지 않습니까. 큰 틀에서 이제 이렇게 하겠다고 하는 상호 협력하겠다는 의지를 표명 하는 것이 MOU라고 저는 생각한다”고 주장하자 이 장관은 “대구시와 양해각서 문안을 협의 중에 있는데, 의견차 커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이 장관은 특히 주요 쟁점으로 대구시가 제시한 수성구 핵심 학군 지역에 300 세대 규모의 군 간부 숙소를 건설하는 것은 대안으로 미흡하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이 장관은 “300세대이라는 숫자는 저희들이 실제 가족 수를 보면 2800여세대 정도가 되는데 이의 약 1/8 정도 밖에 안되기 때문에 그 숫자로는 저희들 군인 가족들 복지 문제 해결에는 안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구시가 국방부 요구를 받아들여 대책을 제시한 지 거의 두 달만에 장관이 사실상 수용 불가 입장을 밝힌 것이라 군부대 이전 사업은 상당기간 난항을 겪을 겪을 것으로 우려된다.
한편 다음달 1일부터 대구시에 편입될 군위도 군부대 유치를 위해 속도를 내며 타 시군과 유치를 위한 경쟁을 하고 있다.
군위=이재근기자 news1113@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