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오피니언 > 사설

[사설] 일자리 ‘불일치’ 해결책 못 찾는 이유 있다

입력 2024-02-18 15:00 | 신문게재 2024-02-19 19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석 달 만에 30만명을 넘긴 취업자 수만 놓고 보면 지난달은 고용 호조세인 것처럼 인식된다. 통계청 발표로는 실업률도 석 달 연속 증가세다. 구직활동이 늘어나면 실업자로 분류되니 그렇다고 일반화할 수 없는 측면이 강하다. 고용 허리층인 30대의 ‘쉬었음’ 증가율이 연령 중 유일하게 늘어난 점은 특이사항으로 나타난다. 꼭 ‘이유 없이’ 구직활동을 안 하는 것은 아니다. 일자리 미스매치(mismatch)는 1월 고용 동향이 남긴 변함없는 숙제다.

구직자는 선호하는 일자리를 못 찾고 기업은 인력난을 호소하는 불일치의 원인을 피상적으로 이해하는 것부터 문제라고 본다. 3명 중 1명(29.9%)이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 구직활동을 쉰 것은 결정적이다. 한편으로는 주력산업의 인력난이 최근 5년 새 최대를 기록한다. 좋은 일자리 만들기와 별개로 소프트웨어, 전자, 화학, 기계를 비롯한 12대 주력산업 부족인원 비중은 최고도로 높아진 수준이다. 과도한 임금격차 등 여러 면에서 기대 수준에 맞지 않기도 하겠지만 숙련되고 경험을 갖춘 구직자가 부족하다는 것이 기업으로선 적잖은 애로사항이다. 중소기업 인력난은 심각함을 넘어 한계에 직면해 있다.

기업 입장에서는 현장에서 요구하는 인재가 부족하다는 뜻도 된다. 맞춤형 취업 대상자 양성을 위한 교육 인프라 확충이 시급함을 말해주는 대목이다. 산업경쟁력과 경제 활력을 담보할 첨단 인재를 확보하지 못하면 좋은 일자리가 늘어도 엇박자가 계속된다. 기업에만 이를 해소하기 위한 경쟁력을 갖추라고 요구할 수는 없다. 단순히 일자리와 구직자의 불일치를 메우기보다 융복합 전문 인력을 키워 혁신과 성장이 가능하게 하는 게 더 중요하다. 노동시장의 이중구조는 노사정이 머리 맞대고 돌파할 부분도 있다. 기업의 질 좋은 일자리 창출 의지를 높이는 건 세제와 인프라 지원이 전부는 아닐 것이다. 실효성 없는 정부 정책도 일자리 미스매치 원인이다.

표면만 읽으면 지난 2년간 실업자가 상당수 감소한 데 따른 기저효과도 1월 실업률 증가로 나타났을 법하다. 선호하는 고품질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도 전문 인력이 모자라면 엇박자는 계속된다. 취업연계형 특성화 학사·석사 과정 구성 등으로 기업이 원하는 인재 양성 노력도 기울여야 한다. 외국인력 쿼터 늘리기를 ‘쉬었음’과 ‘원하는 일자리 찾기 어려움’의 대증요법으로 언제까지 쓸 수는 없다. 일할 능력이 있는데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사례를 줄여야 한다.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