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오피니언 > 사설

[사설] 이 정도 ‘기업 밸류업’으로 증시 저평가 해소되나

입력 2024-02-26 14:11 | 신문게재 2024-02-27 19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26일 발표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은 증권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기에는 너무 원론적이다. 최대 관심사는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 해소 방안이 실제 저PBR(주가순자산비율) 업종 주가에 미칠 영향이다. 도입 예고 이후 증시에서 발견된 긍정적 조짐이 지속돼 가치 제고가 이뤄지길 기대하지만 너무 만성적이라는 게 걸림돌이다.

만년 저평가의 늪은 크고 깊다. 여기서 건져낼 기업가치 제고 계획이 주주환원 정책에 비중을 두는 등 주식공급자의 특성에 치중하고 있다. 틀린 처방은 아니지만 단기투자에 치중하면서 펀더멘털에 입각해 투자하는 주식수요자(투자자) 측면이 경시된다는 느낌을 받는다. 주주의식 부족, 지배주주와 일반주주의 이해관계 불일치는 무시할 수 없는 ‘늪’의 일부분이다. 기업 지배구조 개선과 함께 저평가 이면의 구조적 저성장과 기업실적 부진 요인을 같이 봐야 한다. 자본주의의 꽃인 증시에 대한 시장 기대치는 어느 일방으로 단순하지는 않다.

높은 위험 프리미엄 해소에 기업의 자발성에 기초한 가치 제고는 당연히 중요하다. 낮은 주주환원율이 디스카운트의 핵심 요인임은 부인할 수 없다. 성장 가능성에다 자산가치가 확실하고 주주환원 여력을 갖추면 관심을 받기 마련이다. PBR 1배 미만인 기업들의 가치를 끌어올리려면 정부가 나설 수밖에 없다. 상장기업 해외 투자설명회(IR) 기회를 부여하는 등 우리가 소홀했던 부분도 많다.

기업가치만큼 주가를 유지해야 증시에서는 일단 좋은 기업이다. 그런데 국내 증시 저평가는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면서 재부각됐다. 기업 저평가를 단번에 해결할 처방은 존재하지 않는다. 배당과 자사주 소각과 같은 주주환원 정책으로 자기자본이익률(return on equity, ROE)을 높이는 것은 경영권 위협 요소가 되는 양면성이 있다. 상장사 배당여력을 넘어 무리해서는 안 된다. 기업이 창출할 미래 기대이익이 가격에 잘 반영되지 않은 상태로 거래되는 부분까지 들춰봐야 바른 답이 나온다. 비슷한 다른 국가들과 신흥개발도상국 유사기업에 비교해서도 제대로 못 평가받는 우리 기업 가치다. 기업 밸류업 지원 방안은 여기에 좀 미흡했다.

기업 구조는 개선하고 향상해야 할 대상이다. 그렇다고 ‘기업 지배구조 디스카운트론(論)’에만 매달리지 않아야 할 것이다. 우리가 이 프로그램을 모방한 일본과 달리 자본시장 구조변화에 대응할 방어수단이 많지 않아서다. 밸류업 프로그램 취지는 좋으나 과도한 눈높이는 조정해야 할 것 같다. 한국 증시를 키울 마지막 기회처럼 생각하고 후속 입법 등 구체성 보완에 나설 차례다.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