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오피니언 > 사설

[사설] 네이버 글로벌 사업까지 넘보는 ‘라인’ 사태, 왜 가만있나

입력 2024-05-22 14:10 | 신문게재 2024-05-23 19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일본 정부의 자본 관계 재검토 주문에서 촉발된 라인야후 사태가 더 꼬이고 있다. 라인야후 측은 대만이나 태국 등 해외 사업을 라인플러스가 총괄하겠다고 밝혔다. 네이버의 아시아 등 글로벌 시장 확대 전략에 제동을 건 도발적인 입장이다. 일본의 국민 메신저 라인을 개발해 운영해 온 네이버에 대한 경영권 포기 압력의 제2탄이다.

네이버·소프트뱅크, A홀딩스, 라인야후, Z인터미디어트글로벌 등 모회사에서 자회사를 오가는 복잡한 의사결정 구조의 문제는 아니다. 그게 어떻든지 일본 사업을 접고 아시아 등의 해외 라인 사업을 분리해 이어갈 거라는 일각의 관측마저 무색하게 한다. 일본과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등에서 2억 명 이상 이용자를 보유한 글로벌 메신저를 통으로 먹으려는 야심을 드러낸 것으로도 해석된다.

22일 상황을 종합하면 ‘라인’의 한국 측 지분 매각을 압박하는 일본 정부 태도와도 맥락이 다르지 않다. 라인야후 사태에서 한국이 전략물자 통제 규범을 어겼을 가능성이 있다는 궤변에서 시작된 수출 규제를 보는 듯한 기시감까지 든다. 네이버, 국민연금, 우리 정부가 직시할 것은 보안 등 시스템 운영 및 관리 업무를 위탁한 반쪽 한국계 메신저를 온전한 일본 메신저로 만들고 싶은 저의다.

일본 이외 해외 시장 사업마저 네이버에 넘기지 않겠다는 라인야후의 시각 역시 네이버를 업무 위탁처이자 대주주 정도로 보려는 일본 총무성 입장과 차이 없음이 드러났다. 라인플러스 사업권 등 지분 협상을 논의할 네이버 측에는 모든 가능성 중 상당 부분이 이렇듯 닫혀 있다. 지난해 자국 대표 통신사업자 NTT니시일본의 개인정보 928만 건 유출 사고 당시와 너무 다르다. 위탁업체 관리감독 및 재발방지책 수용에 그친 그때와 달리, 한·일 호혜 관계마저 깨려고 덤빈다. 글로벌 스탠더드에 어긋나는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 사고에서 ‘사이버 안보’는 구실이며 핑계다.

결과나 과정에서 라인 지분을 갖고 있는 한국 기업의 글로벌 사업까지 넘보며 쫓아내려 한다면 한일투자협정의 정면 위배다. 네이버의 중장기 사업 전략이 어떠하든 지분 매각 압력으로 인식되는 차별적 조치로 라인 경영권이 위태롭다. 일본 측 의도가 노골화한 마당에 대주주 국민연금은 네이버 기업가치 하락을 생각해서도 의견을 내는 게 옳다. 동남아 사업도 네이버에 안 주고 다 갖겠다고 호언하는 바로 지금 같을 때 우리 정부가 단호하게 전면에 나서야 한다. “필요시 일본 측과 소통하겠다”는 그 ‘필요시’가 바로 지금이다. 라인플러스도 알고 보면 11년 전 네이버가 한국에서 설립한 회사다.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