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정치 · 정책 > 정치일반

복지부 "필수의료 수가 신속히 인상…전문의 중심병원 전환"

"연금개혁, 사회적 합의 지원"
"저출생 대응, 컨트롤타워 강화 적극 지원"

입력 2024-05-22 18:51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출입기자단과 간담회<YONHAP NO-4499>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22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출입기자단 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
보건복지부가 필수의료 수가(의료행위 대가) 인상 등 의료 수가 합리화를 신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전공의 근무시간 단축과 전문의 중심 병원으로의 전환 등 주요 중장기 과제는 의료개혁특별위원회를 통해 집중 논의해 로드맵을 마련할 방침이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서울 중구 소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보건복지 주요 성과 및 향후 계획’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복지부는 이날 △의료개혁 △약자 복지 강화 △저출생 대응체계 강화 △연금개혁 △바이오·디지털헬스 글로벌 중심국가 도약 등 5가지 주제에 대한 그간의 성과와 계획을 발표했다.

의료개혁 분야에서 정부는 단기적으로는 수가 합리화, 법규 개선, 시범사업 등을 신속 추진해 성과를 조기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또 의사들 사이 필수의료 분야 기피 현상을 빚었던 낮은 필수의료 수가를 높인다. 다음 달부터 중증심장질환 중재 시술에 대한 보상을 늘리고, 고위험 산모 및 신생아 통합치료센터 공공정책수가도 신설할 예정이다.

복지부는 전공의 장시간 근로 문제를 개선하고자 연속근무 시간을 현행 36시간에서 24시간으로, 주당 근로시간을 80시간에서 60시간으로 축소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이같은 전공의 근무환경 개선과 더불어 전문의 중심 병원 전환을 지난달 출범한 의료개혁특위에서 중장기적으로 다룬다.

의정갈등 장기화에 전문의 취득 차질 우려<YONHAP NO-4231>
21일 오전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
복지부는 그간의 성과로 ‘필수의료 살리기 대책’을 꼽았다.

그 예로 인력 확충, 보상체계 공정성 제고 등 의료개혁 4대 과제와 의대 입학정원 2000명 확대, 지역·필수의료 지원 확대를 위한 제2차 국민건강보험종합계획 등을 들었다.

의료개혁 과제 마련을 위해 의료현안협의체 회의 27회 등 의료계와 환자·소비자 단체, 전문가 등과 130회 이상 소통한 점도 성과로 꼽았다.

다만 의사단체들은 의료현안협의체, 보건의료정책심의위원회 등에서 의대 증원 같은 인력 확충 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한 적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복지부는 연금개혁에 관해서는 사회적 합의를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추계 실무단을 운영해 국민연금 기금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 거시경제, 제도 관련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분석할 예정이다.

또 미래개혁 자문단을 통해 확정기여, 자동 안정화 장치 도입 등 전문가 의견도 수렴한다.

현재 국민연금은 급여 수준을 미리 정해놓고 확정된 급여를 지급하는 ‘확정급여’ 방식으로, ‘확정기여’ 방식은 보험료 수준을 미리 확정해 놓고 납부한 보험료에 이자를 더한 금액을 급여로 받는 식이다.

‘자동 안정화 장치’는 경제 상황에 따라 보험료율이나 소득대체율 같은 모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규칙이다.

복지부는 저출생 대응을 위한 대책을 조속히 마련하고, 컨트롤타워 강화 논의를 적극적으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복지부는 또 약자 복지를 위해 현 정부 임기 안에 생계 급여 선정 기준의 단계적 상향(현행 기준중위소득 32%)을 통해 저소득층 수급자 수를 늘리고, 최저생활 보장을 강화할 계획이다.

정보통신기술(ICT)·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복지 사각지대도 발굴한다.

바이오·디지털헬스 글로벌 중심 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도 마련한다.

‘한국형 아르파-H(ARPA-H·보건의료고등연구계획국)’를 통해 미정복 질환 극복 등 국가 난제 해결을 위한 과제를 기획해 오는 7월부터 지원할 예정이다.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을 위한 ‘K-바이오 펀드’도 연내 3000억원 규모로 추가 조성한다.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