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정치 · 정책 > 정치일반

'자동차운반선 확보' 민관 머리 맞댄다··· 완성차 물류난 해소

입력 2024-05-23 15:40 | 신문게재 2024-05-24 4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clip20240523153249
(현대글로비스)

 

정부가 국내 완성차 업계의 자동차 수출 물류난을 해소하기 위해 추진 중인 자동차운반선(PCTC) 확보 사업에 집중한다.

지난해부터 계속되고 있는 전 세계적인 자동차 운반선 부족 문제에 대응해 오는 2027년까지 1만800CEU(1CEU는 소형차량 한 대를 운반할 수 있는 공간 단위)급 초대형 자동차 운반석 4척을 공급하는 것이 목표다.

해양수산부는 오는 24일 한국해양진흥공사와 함께 이같은 내용의 공공 선주사업의 추진 경과를 점검하고 앞으로의 사업 추진 방향을 수립하기 위한 ‘공공 선주 사업 민관협의체’를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해수부와 해진공은 선사의 선박 확보 초기 부담 완화와 안정적인 선대 확보를 위해 지난 2022년부터 ‘공공 선주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오고 있다.

경기 변동에 민감한 해운업의 특성 상 수요는 급격하게 변화하는 반면, 공급은 선박건조 기간 등으로 즉각적인 조절이 어렵다. 공공 선주사업은 선박 확보·임대 등 선복량을 탄력적으로 조절하는 선주사의 역할을 공공기관인 해양진흥공사가 맡아 선사의 선박 도입 초기 부담을 경함하고 안정적인 선대 확대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번 민관협의체 회의에서는 현재 추진 중인 자동차운반선 확보 사업을 집중 점검한다.

해수부 관계자는 “사업을 진행하며 실무적인 회의를 수차례 했지만 이번 회의에는 특히 공공 선주 사업에 관심 있는 분들부터 함께 사업을 추진해 온 선사들과 유관기관 등이 모두 모이는 자리”라며 “최근 주요 사업인 자동차운반선 확보 사업에 대한 논의 외에도 사업 추진 방식과 관련해 민간 제안이나 개선점 등 의견을 두루 수렴해 공공 선주사업 추진 방향성을 설정하려 한다”고 말했다.

또한 해수부는 수출입 애로가 있는 선종을 대상으로 신규 사업을 우선 발굴하는 한편, 운송 수요가 많은 특수선 등 선종 다변화, 탈탄소 규범에 대응하기 위한 친환경선 확보 등 국내 해운·물류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앞서 해진공은 지난 2월 현대글로비스와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선사는 초기 선박 건조비용 부담 없이 신조 자동차운반선 4척을 확보하고 선박의 선적공간 일부를 국내 자동차 업계에 우선 배정해 수출을 지원한다는 전략이다. 이 자동차운반선은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로 올해부터 적용되는 유럽연합(EU) 탄소배출거래제 등 친환경 규제 강화에 발맞춰 액화천연가스(LNG) 이중연료 추진이 가능한 친환경 선박으로 제작돼 2027년 인도 예정이다.

세종=임지원 기자 jnews@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