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증권 > 투자전략

증권사, STO 준비 가속화… 당국 "시장 안정화 우선"

입력 2023-03-09 13:37 | 신문게재 2023-03-10 9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zd
(그래픽=연합뉴스)

 

증권사들이 토큰 증권(STO) 시대에 발맞춰 경쟁 태세에 돌입한 가운데, 금융당국에 관련 법규의 조기 제정을 바라고 있다.

9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주요 증권사는 STO 활성화를 위한 ‘STO 협의체’를 구성하며 새 시장 창출에 개별 혹은 공동 대응중이다. 증권사는 자산시장 침체 및 주식매매 중개수입 등 녹록지 않은 수익 창출 환경에서 STO 시장 공략이 새로운 이윤 창출의 기회라 보고 사활을 거는 모양새다.

이에 금융당국에 STO 법제화 관련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확립을 주문하고, 다양한 테스트를 거친 후 STO 시장 활성화를 위한 규제샌드백스를 적극 적용할 것을 요구했다.

금융위원회(금융위)는 STO를 자본시장법 규율 대상으로 지정한다는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금융위는 샌드박스 테스트를 거쳐 정식 제도화한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내년 상반기 법안 제출을 시작으로 후속 절차에 돌입한다는 입장이다.

현재 증권사들은 STO 시대 개막에 맞춰 협의체 구성 및 플랫폼 고도화 등 이미 시장 전환에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그러면서 신종 증권에 대한 발행 방법, 유통 과정 구조화, 투자자 보호에 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빨리 나와야 하는데 증권 판단 기준부터 모호하며, 미비한 부분이 있어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이다.

STO란 실물자산이나 금융자산의 지분을 작게 나눈 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토큰 형태로 발행한 증권을 의미한다. STO는 기존 종이 발행 방식이 아닌 전자화된 방식으로 발행된다는 점에서 전자증권과 유사점을 가지지만, 기존 증권은 금융회사가 등록·관리했다면, STO는 탈중앙화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증권사들은 이제 주식이 아니더라도 미술품, 부동산, 한우까지 다양한 토큰 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증권사들 마다 이에 대비해 조직·인력 배치, 상품 개발 등에 자원을 투자중이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해 초 STO 관련 테스크포스를 만들었으며, 한국토지신탁과 업무협약을 맺고, 신탁수익증권 방식 STO솔루션 제공과 계좌관리기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내부 시스템을 구축 중이다.

KB증권은 토큰증권 사업자 생태계 확대와 협업을 위해 ST 오너스를 구성했다. KB금융그룹 내 KB 이노베이션 허브와 협업해 토큰증권 관련 제휴사 발굴, 그룹 사업 연계, 투자 연계 등 사업 지원을 추진한다.

KB증권은 지난해부터 STO 사업 추진을 위해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TFT를 구성해 업무 설계와 증권 구조 설계, 상품화 지원 등 유관 부서가 참여해 STO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토큰 증권 발행과 유통 시스템을 내부에 구축해 테스트를 마쳤으며, 규제 가이드라인에 맞춰 준비 중이다.

신한투자증권도 최근 STO 얼라이언스 설립을 발표하며 다양한 산업군과 힘을 모으겠다는 방침이다. 협의체는 블록체인 기술 컨설팅 및 연동 지원, 국내외 회원사들 간의 네트워킹 등을 제공할 방침이다. 최근 블록체인 기술 업체 람다256 등이 합류했으며 다른 증권사도 일부 합류할 것으로 알려졌다.

NH투자증권은 ‘STO 비전 그룹’을 구성했다. STO 비전 그룹은 NH투자증권을 중심으로 기업들이 실무 논의를 위해 구성한 협의체다. 여기에는 NH투자증권을 비롯한 조각투자 업체, 블록체인 기술 업체, 비상장 주식 중개업체 등 다양한 산업군의 기업이 참여했다. 아울러 예탁결제원도 지난달 토큰 증권 제도화 안착을 위해 협의체를 만들었다.

이 외에 KB증권과 신한투자증권을 포함해 키움증권, SK증권 등도 자체 STO 거래 플랫폼을 개발 중이다.

한편 금융위는 STO 허용 취지가 자본시장 발전이라는 궁극적 목적에 맞춰 발행과 유통을 철저히 분리해 시장 보호를 먼저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수영 금융위원회 자본시장과장은 “STO에 기존 전자증권과 동일한 전자증권법상 투자자 보호장치를 적용하고 예탁결제원이 증권의 외형적 요건을 심사하고 발행총량도 관리하도록 할 것”이라며 “코인처럼 유통 상황 불투명한 상황을 만들지 않기 위해 예탁원에서 증권이 외형적으로 증권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와 발행, 유통 수 등 꼼꼼히 확인하는 절차를 거칠 것”이라고 말했다.

홍승해 기자 hae810@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