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전국 > 영남

한옥문 위원장, 밀어붙인 '부울경 특별연합'..."지역별 유불리 문제 생길 수밖에"

부울경 메가시티 필요한 것 사실
민주당 일색으로 진행된 특별연합
시작부터 완성도 떨어진 출발
경제동맹 통해 행정통합 바람직

입력 2023-02-13 09:24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한옥문을 열어라
한옥문 위원장이 ‘쎈tv 한옥문을 열어라’에서 ‘부울경 메가시티’를 주제로 토론을 하고 있다. (사진=쎈tv시사임당)
국민의힘 한옥문 양산을 당협위원장이 13일 부울경 시사전문채널인 ‘쎈tv시사임당’의 ‘한옥문을 열어라’ 방송에서 부울경 특별연합 폐지의 내막을 밝혔다.

한옥문 위원장은 부울경 메가시티에 대한 추진 방안이 ‘특별연합’에서 ‘경제동맹’으로 선회돼 행정통합까지 논의되고 있지만, 시도민들이 실질적인 내용을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 같다며 ‘부울경 메가시티’를 주제로 선정해 소통에 나섰다. 부울경이 처한 문제를 짚어보고 방향을 탐색해 보겠다는 취지이다.

지난달에는 충청권 메가시티 건설을 위해 ‘충청권 특별지방자치단체 합동추진단’이 출범했지만, 부울경은 오히려 특별연합을 폐지하며 대구경북 메가시티의 실패 사례를 뒤따라가는 것이 아니냐는 시도민들의 불안감 속에 관심이 쏠렸다.

부울경 메가시티에 대한 구상은 ‘특별연합’이 추진 방안으로 논의되어 왔지만, 경남과 울산이 실익이 없다는 이유로 추진 중단을 선언함에 따라 경남과 울산은 지난해 12월, 부산은 지난 8일 특별연합 설치 근거인 규약을 폐지해 부울경 특별연합은 최종 무산됐기 때문이다.

한 위원장은 “부울경 메가시티가 부산을 중심으로 경남과 울산이 흡수통합 되는 것이 아니냐는 경남도민의 많은 우려가 있었는데, 그 중 ‘서부경남 소외론’이 가장 큰 요인이었다”며 “시작 단계에서부터 완성도가 떨어지는 출발이었다”고 문제를 지적했다.

그러면서 “시도민, 여야 등 전체의 합의를 통해 탄생된 구상이 아니라 ‘민주당 일색’으로 진행돼 결국 지역별로 유불리가 크게 나뉠 수 밖에 없어 실제 합의까지 도달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당시 경남도의원이었던 한옥문 위원장은 부울경 메가시티의 탄생 배경으로 “국민의힘 원내대표단과도 일절 협의한 적도 없었고, 특별연합 설치근거인 규약이 만들어지면 시·도광역단체장 3인과 광역의회 의장 3인으로 구성된 6자 회담을 통해 확정하겠다고 했지만 이 마저도 광역의회 운영위원장들이 내용을 정리했을 뿐 여론형성 과정이나 그 어떤 합의도 없이 진행됐었다”고 회자했다.

한 위원장은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부울경 메가시티가 필요한 것을 사실”이라며, “어떻게 진행하는지가 문제인데 정치적 구호만을 외치며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부울경 전체의 미래를 보고 심사숙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양산=김진일 기자 beeco055@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