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생활경제 > 식음료 · 주류

‘소맥’ 한잔에 1만5000원 시대 오나… 주류 할인판매 허용도 ‘무소용’

하이트진로, 9일 소주 6.95%·맥주 6.8% 인상
일반 음식점 소주·맥주 도미노 가격 인상 우려
소주·맥줏값 잡기에 국세청·공정위도 가세

입력 2023-11-02 06:00 | 신문게재 2023-11-02 3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하이트진로, 켈리·테라 등 맥주 가격 인상<YONHAP NO-3229>
서울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하이트진로의 맥주 제품들. (사진=연합)

 

맥주에 이어 소주까지 출고가가 잇달아 인상되면서 음식점이나 주점의 주류 판매 가격도 오를 전망이다. 주류업체들은 정부 압박으로 상반기 가격 인상을 유보했지만, 제조비 상승으로 더 이상 미룰 수 없게 됐다는 설명이다.

하이트진로는 이달 9일부터 소주 브랜드 ‘참이슬후레쉬’와 ‘참이슬오리지널’ 제품 출고가를 6.95% 인상한다. 인상 제품은 소비자 수요가 가장 많은 360㎖ 병과 1.8ℓ 미만 페트 제품이다.

같은 날 맥주 ‘테라’와 ‘켈리’의 출고가도 평균 6.8% 인상된다. 다만 판매 비율이 높은 500㎖ 캔맥주는 인상 대상에서 제외됐다. 앞서 지난달 맥주시장 1위 업체인 오비맥주는 대표제품인 ‘카스’가격을 6.9% 인상했다.

하이트진로의 이번 소주 가격은 인상은 이미 예견된 것으로, 올해 4월 주류업계는 원부자재 가격 인상 등을 이유로 가격 인상을 검토했었다. 그러나 정부의 가격인상 자제 요청을 받아들여 유보한 바 있다.

하이트진로 관계자는 “연초부터 소주의 주원료인 주정 가격이 10.6% 인상되고 신병 가격은 21.6%나 인상되는 등 원부자재 가격, 물류비, 제조경비 등 전방위적으로 큰 폭의 원가 상승 요인이 발생했으나, 정부의 물가안정 노력에 발 맞추고 소비자들의 부담을 최소화 하는 선에서 인상률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소주 원가의 약 15%의 차지하는 주정 가격은 올해 들어 계속 오름세다. 하이트진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6월 주정 1L 평균 가격은 1795원으로 가격 인상 이전인 2021년(L당 1589원)과 비교해 약 13% 상승했다. 또 소주병을 제조하는 제병 업체들은 지난 2월부터 공병 가격을 180원에서 220원으로 약 22% 인상했다.

맥주의 핵심 원료인 맥아의 가격 또한 지난해 기준 전년대비 48% 급등했다. 공장가동과 제품물류에 영향을 미치는 원유 가격 역시 38% 올랐고, 수입 비중이 높은 원부자재 비용은 환율 영향으로 부담이 커졌다.

주류업계 관계자는 “출고가 인상에 대한 부담이 컸지만, 최대한 버티다가 최근 경영환경상 가격 조정 없이 더 이상 버틸 여력이 없어 인상을 결정했다”며 “그마저도 정부의 물가안정에 기여하기 위해 소비자들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선에 맞췄다”고 말했다.

이번 소주와 맥주 출고가 인상으로 향후 음식점에서의 주류 가격은 더 비싸질 것으로 보인다. 출고가 기준 각각 80원, 100원 인상됐지만, 음식점 판매가는 보통 1000원 단위로 오른다. 현재 서울시내 주요 상권 식당의 주류가격은 소주가 5000~6000원, 맥주가 6000~7000원 선으로, 소주와 맥주를 각각 1병씩 시켜 소맥(소주+맥주)을 만들어 마시면 1만2000원~1만3000원을 내야 했지만 음식점 술값이 또 오르면 소맥을 만들어 마시기 위해서는 1만5000원이 넘는 돈을 지줄해야 할 수도 있다.

이에 정부는 서민들의 부담을 줄이겠다며 술값 안정 정책을 시도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큰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7월 국세청까지 나서 도·소매 거래 때 허용되는 구체적인 할인기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에 나섰다. ‘소매점, 음식점 등 주류 소매업자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주류를 구입가보다 낮은 가격으로 할인해 판매할 수 있다’는 유권해석을 내놓은 것이다.

그러나 실제 주류를 할인해 판매하는 유통가나 식당가를 찾아보기 어렵다. 대형마트나 편의점 등에서 소주와 맥주 등에 대해 대대적인 할인 판매에 나서지 않고 있고, 고물가로 매장 운영이 어려운 상황에서 주류 할인을 선택할 자영업자는 없어 보인다.

이 때문에 공정위는 최근 도매상들이 중간 유통단계에서 담합을 통해 과도한 마진을 남기는 게 아닌지 조사에 착수했다. 일정 가격 이하로 판매를 못 하도록 합의하거나 거래처를 보장해주는 식으로 경쟁을 제한했는지를 살펴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자연 기자 naturepark127@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