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생활경제 > 유통

'유통 빅3' 총수 신년사…생존 위한 해법은?

입력 2024-01-03 06:00 | 신문게재 2024-01-03 2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clip20240102135821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사진=롯데지주)
흔히 ‘유통 빅3’라 불리는 롯데그룹·신세계그룹·현대백화점그룹의 총수들의 2024년 신년사에는 신년사에는 위기 의식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쿠팡 등 이커머스의 업체들의 공세가 날이 갈수록 거세지는 가운데 글로벌 경기침체와 인플레이션에 따른 수요둔화로 대내외 경영환경 불확실성이 증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총수들이 생존을 위해 내놓은 해법은 신사업 등 새로운 도전과 수익성 강화다. 위기 속에서 기회를 창출하거나 미래를 대비하고, 기업의 지속 가능을 위해 끊임없이 새로운 도전에 나서는 한편 기존 사업의 수익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본 것이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전 세계적인 경제 저성장 지속과 글로벌 경기 침체를 언급하며 지속적인 도전과 혁신을 강조했다. 그는 “과거 성공 경험에 안주하지 않고 도약하기 위해서는 위기 속 기회를 만들어야 할 때”라며 “성장을 위해 시도하고 두드린다면 기회의 창은 반드시 열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 회장은 특히 사업 혁신과 관련해 ‘인공지능(AI) 트랜스포메이션’을 언급했다. AI 트랜스포메이션 시대를 맞이하기 위해 이미 확보된 AI 기술을 활용해 업무 전반에 AI 수용성을 높이고 ‘생성형 AI’를 비롯한 기술 투자를 강화해달라고 주문했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사진=신세계그룹)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은 ‘ONE LESS CLICK’과 ‘ONE MORE STEP’을 화두로 제시하며 수익성을 강조했다.

정 부회장은 “사소해 보이는 ‘한 클릭의 격차’에 집중해야 경쟁사와의 차이를 만들 수 있고, ONE MORE STEP을 통해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답을 찾아내 경쟁사와의 격차를 벌려 나갈 수 있다”며 “잠재적 리스크와 구조적 문제점을 따져보는 치열함을 갖출 것”을 당부했다.

정 부회장은 특히 “선제적이고 과감한 경영진단을 통해 핵심 사업의 수익 기반이 충분히 견고한지를 점검하고 미래 신사업 진출 역시 수익성을 중심에 두고 판단해달라”며 수익성 강화를 강조하했다.

정지선 현대백화점그룹 회장
정지선 현대백화점그룹 회장.(사진=현대백화점그룹)
정지선 현대백화점그룹 회장은 기민하게 미래를 대비할 수 있는 ‘성장 메커니즘’ 구축을 최우선 목표로 삼았다.

정 회장은 “성장 메커니즘은 창발적으로 일하는 환경을 바탕으로 미래에 대한 폭넓은 구상을 통한 새로운 성장기회의 창출과 고객가치를 중심으로 한 혁신이 지속되는 체계”라며 “각 계열사별로 처해있는 사업환경과 역량, 자원에 매몰된 통념을 버리고,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 새롭고 다양한 시각으로 비즈니스의 변화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민서 기자 msjang@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