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사회 > 교육 · 행정

교육부, '학교 행정업무 경감·효율화 방안' 발표

입력 2024-05-23 13:17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clip20240523124914
나이스 온라인 출결 시스템 구조도. (자료제공=교육부)

그동안 수기 작업으로 이뤄지던 학생 결석 신고가 온라인 신청으로 전환되고, 미취학 아동에 대한 소재 확인은 학교가 아닌 교육청이 담당하게 된다.

교육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학교 행정업무 경감 및 효율화 방안’을 22일 발표했다.

많은 행정업무로 인해 그동안 학교 현장에서는 교원들이 수업에 집중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와 관련해 교육부는 행정업무 경감 마련을 목표로 현장 관계자 의견 청취,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정책연구 등을 통해 △교내 업무 경감 △학교 업무의 행정기관 이관 △행정업무 효율적 지원체계 강화 등의 방안을 마련했다.

학교 업무 간소화 방향으로 그동안 수기 작업으로 이뤄지던 수업 준비·평가, 출석 관리 등은 4세대 나이스, 케이(K)-에듀파인 고도화 등과 함께 온라인 출결관리시스템을 올해 9월 구축한다.

학교 회계 예·결산서는 교육청이 일괄 공개하도록 하는 등 하반기부터 온라인 시스템을 활용한 업무경감을 추진하고, 모든 학교 관계자가 디지털 기술을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튜터 등을 확대, 교사 맞춤형 에듀테크 개발을 지원한다.

학교에서 담당하던 일부 업무는 교육(지원)청으로 이관된다. 이와 관련해 교육환경 보호구역 내 현황 조사 및 순회 점검·실적보고 업무는 교육(지원)청 중심으로 실시한다.

학교의 1차 독촉에도 취학하지 않는 미취학아동에 대한 후속 취학관리는 교육(지원)청 ‘취학관리 전담기구’에서 담당하여야 하나, 학교 현장에서 상당수의 취학관리 업무를 수행했다. 교육부는 취학관리 전담기구 운영 정상화를 통해 학교 현장의 부담을 완화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하반기부터 ‘함께학교 플랫폼’ 내에 학교 행정업무 경감 소통 채널을 별도로 구축해 교직원 간 소통을 강화하고, 교육정책 발표 전 행정업무 영향평가를 통해 학교 행정업무 증가 여부를 의무적으로 확인하기로 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이번 방안이 현장 소통을 통해 마련된 만큼 학교의 실질적 업무경감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류용환 기자 fkxpfm@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