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비바100 > Health(건강) > 생활건강

[비바100] 건강한 노년을 위한 준비…"하루 세가지 습관 실천, '노쇠' 늦출 수 있어요"

입력 2018-12-11 07:00 | 신문게재 2018-12-11 14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초고령화사회를 앞두고 노쇠(허약)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65살 이상 노인(내국인)은 712만 명으로 2016년보다 34만 명 늘었다.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3.6%에서 14.2%로 커졌다.

이처럼 노인 인구의 증가는 건강과 장애의 중간 단계인 노쇠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노인노쇠코호트사업단(KFACS)은 65세 이상 노인 50%가 노쇠의 전단계인 ‘전노쇠 단계’로 나이가 들수록 노쇠가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원장원 경희의료원 가정의학과 교수(한국노인노쇠코호트사업단장)는 “노쇠는 여러 장기의 기능 감퇴인 상태로 정의한다”며 “수술, 감염 등을 이겨내지 못하고 낙상 등과 같은 다양한 일상생활의 장애로 이어져 기능 회복이 힘들고 요양이 필요한 상태가 된다”고 말했다.

 

46


◇ 노쇠 원인 및 연구

노쇠의 원인은 질병의 문제도 있지만 대부분은 식욕저하와 근육감소가 원인으로 알려져있다.

최근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장일영 전임의는 노인의 운동과 단백질 섭취를 늘리고 불필요한 약물 복용을 줄이면 신체 활동 지수가 크게 개선돼 건강 수명을 늘릴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노인성 질환인 근육 감소증이라는 질병 진단을 받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스쿼트·플랭크·다리들어올리기 등의 저항운동, 한발로 서기 등의 균형운동, 계단 오르내리기 등의 유산소 운동 등 세 종류의 운동요법을 시행했다. 또 공동 장소에 모여 주당 2회 1시간씩 단체 운동을 해 균형 영양식 아미노산 음료를 매일 2회 섭취했고 우울증 상담 등을 진행했다. 그 결과 노쇠의 주요 원인인 근육 감소증을 줄이고 수명을 늘릴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해냈다.

평균 60세 이상 노년층의 경우 혈중 비타민 D 농도가 충분하다면 노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도 제시됐다. 노령층에서는 소화기능 저하, 근육량 감소, 일조량 부족으로 인해 신장기능이 저하돼 활성형 비타민 D 결핍이 발생한다. 가톨릭대 여의도성모병원 가정의학과의 주상연 교수(호스피스 완화 의학) 연구팀은 혈중 비타민 D 농도와 노쇠의 상관관계를 체계적 고찰을 통해 메타 분석한 결과(전향적·단면적 관찰 연구) 이 같은 연관성을 최근 밝혀냈다. 주 교수는 “혈중 비타민 D 농도를 비타민 D 복용 용량으로 환산하였을 경우 1000IU(≒10nmol/ℓ)에 해당돼 4000IU 비타민 D를 섭취한 경우 20% 이상 노쇠 예방이 가능하다”고 조언했다. 비타민 D는 하루 15∼20분 정도 햇볕을 쬐거나 보충제를 복용하면 체내 농도를 높일 수 있다. 대부분 전문가는 시중 비타민 제품으로 치면 하루 1∼2알 정도가 적당하다고 권고한다.


◇ 노쇠 예방법

노쇠는 관리를 통해 전노쇠나 건강한 상태로 돌아갈 수 있어 영양, 운동, 의료, 사회활동 등 다양한 접근의 관리가 필요하다. 노쇠를 예방하지 않을 경우 낙상이나 보행 장애 및 관절통을 일으킬 수 있으며 질병으로 이어져 고혈압, 당뇨, 관절염과 함께 합병증과 후유증이 나타날 수 있다. 이에 적절한 영양섭취와 운동은 노쇠를 예방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방법이다.

단백질 섭취도 중요하다. 노인은 몸무게 1㎏당 1.2~1.5g의 단백질을 먹는 것이 좋다. 하루 세 끼에 나눠 매 끼니마다 생선 한 토막이나 손바닥 반 정도 크기의 고기 등을 먹어야 한다. 그래야 근육량이 증가해 노쇠를 회복하고 낙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뼈·근육 건강에 도움이 되는 영양소인 비타민D가 부족하면 보충제를 챙겨 먹는 것도 도움이 된다.

노쇠예방에 중요한 근력강화와 유연성 운동은 신체의 수행능력을 강화시키고, 통증을 줄일 수 있다. 더불어 다양한 약물, 인지행동 및 재활치료 등도 노쇠와 노인병을 이겨내는데 중요한 치료 중 하나이다.

원장원 교수는 “WHO글로벌 건강예측 데이터 보고에 따르면 건강하지 못해 활동 제한을 받는 기간이 7.9년(2000년)에서 9.1년(2015년)으로 늘어났다”며 “노쇠 단계에서 적극 대처를 한다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수 있는 장기요양 수요를 막거나 늦출 수 있고 어느 정도 건강 회복도 가능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노은희 기자 selly215@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