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산업·IT·과학 > 기업경영 · 재계

대기업 절반, 사회공헌 지출 늘렸다… 4곳 중 1곳, '25% 이상↑'

전경련, '주요 기업의 사회적가치 보고서' 발표
'21년 사회공헌 지출액 2.9조… 1곳당 133.6억

입력 2023-01-25 06:00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1
(자료=전경련)

 

국내 대기업 절반 정도가 사회공헌 지출금액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으로 인한 사회적 지원 요구 증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5일 이런 내용이 담긴 ‘주요 기업의 사회적가치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 중 사회공헌 지출금액을 공개한 219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대상 기업들은 2021년 한 해 사회공헌에 총 2조9251억4467만원을 지출했다. 기업 1곳당 평균 133억 5682만원을 쓴 셈이다.

또한 조사기업 50.5%는 사회공헌 지출액을 전년보다 늘렸으며, 25% 이상 증가한 기업도 전체 기업의 26.5%에 달했다. 증가 이유로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사회적 지원 요구 증가’(22.1%), ‘대표 사회공헌 프로그램에 대한 투자 증가 및 신규 론칭’(20.5%), ‘경영성과 호전에 따른 사회공헌예산 증가’(17.2%) 등이 꼽혔다.

반대로 사회공헌 지출액이 줄어든 기업은 45.5%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대면 사회공헌 프로그램 추진 어려움’(46.5%)과 ‘긴급 구호, 국가적 행사 등 당해연도 이슈 부재로 비용 감소’(16.3%)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기업들의 사회공헌 분야는 ‘취약계층 지원’(55.9%), ‘교육·학교·학술’(13.1%), ‘문화예술 및 체육’(11.4%) 등 순으로 많았다. 특히 취약계층 지원은 전년 대비 1000억원 이상 증가했는데, 이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적 지원 요구가 증가하면서 기업들이 우선적으로 이들에 대한 대면·비대면 프로그램을 재개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
(자료=전경련)

 

보고서는 아울러 최근 기업들의 사회공헌 활동의 특징을 ‘RE:10’으로 제시했다. 이는 △REform(비대면 전환) △REcyle(자원 순환) △REspect(보훈·경로 예우) △REgion(지역사회 지원) △RElief(소외·취약계층 지원) △REmedy(치료·재활) △REcover(재해·재난 복구) △RElation(이해관계자) △REward(후원·보상) △REcreation(문화·체험) 관련 사회공헌 활동을 의미한다.

이 중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기업 사회공헌 프로그램이 기존 오프라인·대면형 활동에서 온라인·비대면형 활동으로 전환(REform)됐다는 점이다. 독립유공자 후손 주거환경 개선사업 등 국가유공자에 대한 예우와 존경(REspect)을 담은 활동들도 눈에 띄었다. 지역사회(REgion)에 대한 사업도 꾸준히 전개됐다. 특히 지역사회 청년들의 직업 교육과 창업 지원 등 취업난 해소를 지원하는 사회공헌 프로그램들의 신설이 두드러졌다.

전경련 이상윤 커뮤니케이션본부장은 “2021년은 코로나 팬데믹 장기화와 경기침체 등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이 위축된 사회공헌 활동을 다양한 방식으로 재개하며 우리 사회에 활력을 불어넣고자 노력했던 한 해였다”며 “비대면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신설하는 등 코로나19로 인해 지치고 힘든 취약계층과 청년세대 등을 지원한 기업의 노력을 격려하고 장려하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이 절실하다”고 했다.

 

3
(자료=전경련)

 

한편, 기업들은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지역사회가 당면한 문제 해결 및 지역 발전 기여(33.2%)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26.5%) △회사(CEO)의 미션 및 철학(25.1%) 등을 중요하게 고려했다. 최근 확산되고 있는 ESG경영과 관련해서는 △탄소배출량 감소 등 기후변화 대응(24.3%) △고객 및 근로자 안전 강화(17.7%) △생산활동 내 친환경 가치 실현(16.9%) 등에 중점을 뒀다. 이는 글로벌 화두인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기업들의 동참 요구가 커지고, 최근 산업안전에 대한 관심과 사회적 요구 증가가 일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박기태 기자 parkea11@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