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산업·IT·과학 > IT·모바일·방송통신·인터넷

4000억 절감할 수 있다는데… 관심 받는 ‘블록체인 투표’

입력 2020-04-16 13:54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vote-3569999_640
제21대 국회의원 선거가 투표율 60% 벽을 돌파한 가운데 차기 공공선거에서 블록체인 투표를 적용할 수 있을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그동안 전자투표는 신뢰성 부족을 문제로 국가 선거 적용이 쉽지 않았다. 그러나 신뢰성 보장을 핵심으로 한 블록체인 솔루션이 적용되면 투표 진위 확보는 물론 안방에서 투표 참여가 가능해져 투표율이 크게 높아질 것이란 기대다.

실제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지난 1월 ‘블록체인 기반 온라인 투표시스템 구축 ISP 수립’을 위한 입찰 기업을 선정했다. 선관위는 이번 프로젝트 실행으로 온라인 투표 인프라를 조성할 방침이다. 민간 영역에서 제한적으로 운영되는 온라인 투표를 공적 영역까지 확대하겠다는 구상이다.

선관위 측은 “공공성이 높은 영역까지 전자투표 활용 범위가 확대되면서 전자투표에 대한 높은 보안성이 요구된다”며 “데이터 위변조를 방지하는 블록체인 적용으로 전자투표 확대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최근 블로코가 발표한 ‘전자투표 도입 현황 및 블록체인 투표 활용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투표 도입이 투표 비용절감은 물론 편의성을 크게 끌어올릴 것이란 견해다. 실제 이번 총선에서 전국 1만4330곳의 투표소를 열고 약 8700만장의 투표용지와 인력을 투입하는 등 선거에 쓰인 비용이 4150억원에 달했다.

전자투표와 블록체인
자료=블로코 제공

블로코는 블록체인 투표 방식이 선관위가 미리 등록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바탕으로 유권자에게 투표할 수 있는 토큰 전송에서 시작한다고 설명했다. 토큰은 중복 투표 방지를 위해 쓰인다. 토큰을 후보자의 주소로 전송한 뒤 후보자를 통해 토큰을 받은 유권자는 해쉬아이디, 블록 넘버, 받는 사람, 기호 번호 등을 사용하면서 누가 어떤 후보자에게 투표했는지 알 수 없다.

이후 투표를 위해 생성된 토큰 양과 후보자에게 전송된 토큰 양을 비교해 투표가 종료되는 구조다. 다만 익명성 확보를 위해 추가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조언이다. 유권자가 투표할 후보자의 임시 주소 공간을 마련한 다음 투표가 종료되면 해당 임시 주소를 삭제해 추적을 불가능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업계 일각에선 블록체인 적용이 단지 투표에만 머물지 않고 설문조사에도 확대 적용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여론조사기관이 1000명 남짓한 표본에 유선전화와 휴대폰의 응답에 따라 결과가 크게 차이나는 부분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다. 응답률도 크게 올라갈 수 있는데다 여론조사 신뢰도도 제고할 수 있는 부분이다.

김원범 블로코 대표는 “이번 국회의원 선거에 4000억원 이상의 비용이 소요되는 만큼 블록체인 투표는 기존 종이투표와 전자투표 방식의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며 “그러나 법적, 제도적 문제가 다수 존재하는 만큼 적용을 두고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상우 기자 ksw@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