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산업·IT·과학 > 조선 · 철강 · 기계금속 · 방산

포스코, 자원순환으로 탄소중립 목표 가속

입력 2023-09-26 17:16 | 신문게재 2023-09-27 5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2023 기후산업국제박람회에서 관람객이 포스코 탄소중립 로드맵
저탄소 철강 제품과 관련 기술·공정을 모두 포괄하는 포스코의 신규 브랜드 그리닛.(사진제공=포스코)

 

포스코가 지난 2020년 아시아 철강사 최초로 탄소중립 계획을 발표한 후, 글로벌 철강사 최초 ESG 전담조직을 설치하는 등 ESG경영에 앞장서고 있다. 또한 환경보호와 자원순환을 중요한 사회적 가치로 인식, 우리 사회가 녹색전환과 순환경제로 나아가는 데 힘을 쏟고 있다.

26일 포스코에 따르면 자사는 철강 공정 내 발전 효율 향상 등 에너지 효율 증진에 노력하고 있다.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생가스를 공정 또는 발전소의 연료로 재활용해 제철소 사용 전력의 80% 이상을 자체 생산하고 있다. 또한 노후화한 저효율 발전 설비를 신예화해 발전 효율을 높이고, 부생가스 발생과 사용 현황을 실시간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 부생가스 방산량을 최소화하고자 노력 중이다. 이뿐 아니라 에너지 절감에 필요한 에너지 회수설비 신설과 보완에도 투자하고 있으며 부생가스 회수 설비 증대와 개선, 연구개발도 추진하고 있다.

포스코는 지표수, 지하수의 양을 줄이고자 대체 공업용수 확보도 추진 중이다.

포항제철소는 2015년부터 하수처리 재이용수를 활용해 하루 8만톤의 담수 사용을 저감했으며, 광양제철소는 2014년 도입한 해수 담수화 시설에서 생산한 담수화 용수로 하루 3만톤의 담수 사용을 대체했다. 지난해 포스코는 총취수량의 30% 수준을 재활용했다.

포스코는 매년 철강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래그, 더스트, 슬러지 등 부산물의 대부분을 재활용한다. 2018년 대한민국 자원순환 성과관리 대상 사업장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포스코에서 발생하는 대표적 부산물인 슬래그는 석회(CaO), 실리카(SiO2) 등 함유 성분의 차이에 따라 시멘트 원료, 콘크리트용 골재, 규산질 비료 등으로 자원화 하고 있다.

또한 포스코는 어촌마을 곳곳에 방치돼 오염을 일으키는 폐패각을 제철 부원료로 재활용하고 있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패각량은 연간 35만톤 규모로, 포스코는 패각의 주성분인 석회질이 제철공정에서 사용하는 석회석과 유사 성분이라는 점에서 착안, 패각 자원화에 주목했다. 세계적으로 패각을 산업용 자원으로 재활용한 전례는 없었지만, 포스코는 공급사, 정부·지자체와 지난 2021년 관련 규제와 법률을 개정했으며 패각을 소결용 석회석과 탈류용 생석회로 가공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패각 자원화는 공급사의 매출향상과 원가절감에 기여했고, 무엇보다 어촌 마을에 방치된 패각 90여만 톤을 전량 처리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이는 41만 톤의 탄소배출 감축을 가능케해 자원순환의 모범사례로 꼽힌다.

포스코는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유일한 대안으로 순환경제 모델을 꼽고 있다. 이는 인류가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룩할 수 있었던 ‘생산-소비-폐기’의 선형경제 성장 모델과 달리, ‘원료-설계-생산-사용’ 등 산업 전과정에서 재자원화를 고려한 기반 설계로, 효율적인 자원 이용과 순환성 극대화를 추진하는 개념이다. 이에 따라 포스코는 ‘순환경제 사회로의 전환’을 거스를 수 없는 새로운 패러다임이자 ‘2050 탄소중립 달성의 핵심수단’으로 인식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광양제철소가 운영하는 해수담수화 설비
광양제철소가 운영하는 해수담수화 설비.(사진제공=포스코)

박철중 기자 cjpark@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