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생활경제 > 식음료 · 주류

죽어가는 외식업, '심폐소생’하려면?...외식업계 "식당도 근접출점 제한해야"

입력 2019-01-23 17:20 | 신문게재 2019-01-24 3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IE002375499_STD
외식업 경기가 극도로 나빠지면서 빈 점포도 늘고 있다. 사진은 서울 한 지하상가 점포에 붙은 임대표지판 (연합)

  

외식업 경기가 최악의 침체에 빠지면서, 외식업 살리기를 위한 정부 정책이나 외식업계의 빠른 변화가 필요하다는 게 많은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강병오 중앙대 교수는 정부 정책과 업계의 변화가 같이 수반되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 교수는 “1인가구의 확대, 저출산, 고령화로 한식밥상 등의 외식수요가 급격히 줄었다”며 “가성비나 생경한 음식이 각광받고 있는데 이를 위해 업계는 소비자 트렌드에 맞춰 빠르게 변화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고 푸드테크 등 신기술을 적용한 제품으로 새로운 성장 동력 개발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외식업은 2016년 전년대비 10.2% 성장한 119조원(aT 기준)이었고 2017년 130조원대까지 도달한 것으로 예상된다. 외식업 종사자 수도 119만명을 넘어서며 고용시장에도 활기가 돌았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최근 5년 이내 연매출 1조 원이 넘는 외식기업이 1개 기업에서 3개 기업으로 늘어났고, 코스닥 상장 외식기업도 3곳으로 늘었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외식업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골목상권의 중소규모 점포는 물론이고 대기업 프랜차이즈 브랜드도 매장수를 대거 줄이고 있으며 오래된 맛집도 소리 없이 사라지고 있다.

외식업을 살리기 위한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이유다.

외식업계 일각에서는 지난달 4일 공정거래위원회가 편의점 업 근접 출점을 금지하는 법안을 승인하면서 이를 외식업에도 적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일고 있다. 서로 다른 브랜드라도 유동인구나 상권현황, 담배소매인 지정거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50~100미터 내 근접 출점을 금지하겠다는 것이 편의점 근접 출점 제한법(가제)의 골자다.

이에 따라 먼저 커피 전문점 출점을 규제해달라는 이른바 ‘스타벅스법’ 청원이 잇따르고 있다. 100% 직영점만 출점해 가맹사업법 적용을 받지 않는 스타벅스는 최근 몇 년 새 빠르게 매장을 늘리면서 골목상권을 위협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소상공인들의 적극적인 청원으로 일부 여당 국회의원들이 관련 사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편의점, 커피에 이어 이미 치킨, 분식 등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점에도 이를 적용해야 한다는 일부 목소리도 있다.

김승권 기자 peace@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