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금융 > 정책

집값 하락에 가구 자산 첫 감소…금융부채 보유 가구 원리금 상환 부담↑

입력 2023-12-07 15:30 | 신문게재 2023-12-07 8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2년 만에 5대 은행 가계대출 잔액 최대 폭 증가
서울 시내 한 은행에 대출 금리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사진=연합뉴스)

 

우리나라 가구당 평균 자산이 사상 첫 감소를 기록한 것은 집값 하락의 영향이었다. 고금리 여파에 가구당 평균 부채 증가율은 역대 최저 수준에 그쳤으나,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의 원리금 상환 부담감은 커졌다.

7일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통계 작성 이후 처음 감소한 가구당 평균 자산(5억2727만원)은 실물자산이 76%(4억140만원)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나머지는 금융자산(1억2587만원·24%)이다. 실물자산은 부동산 비중이 71%에 달하는데, 이 가운데 거주주택(비중 약 44%) 가격이 하락하면서 전년대비 10% 감소했다. 금융자산에 해당하는 저축액과 전·월세 보증금은 전년대비 각각 3.4%, 4.7% 늘어 증가세를 유지했다. 

042

가구당 평균 부채(9186만원)는 비중 74%를 차지하는 금융부채(6694만원)가 집값 하락, 대출금리 인상 등으로 지난해 보다 담보대출(-2.6%), 신용대출(-0.7%), 신용카드 관련대출(-10.6%)이 줄며 전체적으로 1.6% 감소했다.

순자산(4억3540만원)은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인한 자산감소로 전년대비 4.5% 줄었다.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전년 대비 0.7%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저축액 증가, 금융부채 감소로 저축액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전년대비 3.9%p 감소했다.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 중 ‘원리금상환이 부담스럽다’고 응답한 가구는 67.6%로, 전년(64.4%) 대비 3.2%포인트(p) 증가했다. ‘매우 부담스럽다’는 가구는 20.8%로 1년 전(16.8%) 보다 4.0%p 늘었다. ‘부담이 없다’(32.4%)거나 ‘약간 부담스럽다’(46.7%)는 가구는 각각 3.2%p, 0.8%p 줄었다. 원리금 상환이 부담스러운 가구가 저축 및 투자, 지출을 줄이고 있다는 응답은 73.1%로 전년(72.1%) 보다 1.0%p 늘었다.

보유부채 상환이 어려울 것이라고 응답한 가구도 늘었다. 금융부채 보유 가구 중 5.5%가 ‘가계부채 상환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답해 전년(4.7%) 보다 0.8%p 증가했다. ‘대출기한 내에 갚을 수 있다’는 응답은 78.9%로 전년(77.7%) 보다 1.3%p 늘었다.

가구의 56.0%는 1년 후에도 부채에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보았다.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한 가구는 8.3%였다. 35.7%는 ‘부채가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1년 후 부채 증가 원인으로 생활비 마련을 꼽은 응답도 늘었다. ‘부동산 관련 마련’이 43.2%로 전년에 비해 2.3%p 감소한 반면, ‘생활비 마련’이 25.6%로 전년에 비해 3.5%p 증가했다.

자산 운용 방법은 주로 저축과 금융자산 투자(50.4%)였다. 지난해(47.9%)보다 2.5%p 늘었다. 부채 상환(21.6%)도 0.7%p 증가했다. 부동산 구입(23.9%)은 2.4%p 줄었다.

금융자산 투자시 선호하는 운용 방법은 예금(88.8%)이 1순위였다. 그 다음으로 주식(8.7%), 개인연금(1.5%) 순이었다. 지난해에 비해 예금은 선호도가 5.3%p 증가한 반면, 주식과 개인연금은 각각 4.6%p, 0.5%p 줄었다.

금융자산 투자시 고려 사항은 안전성(67.5%)이 가장 우선으로 꼽혔고, 수익성(19.3%), 현금화 가능성(7.4%), 접근성(5.7%) 순으로 나타났다. 전년에 비해 현금화 가능성과 안전성은 각각 1.1%p, 0.6%p 증가한 반면, 수익성은 1.7%p 감소했다.

1년 후 거주 지역 주택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보는 전망은 늘었다. 가구주의 42.7%가 ‘변화가 없을 것이다’, 18.6%는 ‘하락할 것이다’, 17.0%는 ‘상승할 것이다’라고 각각 응답했다. 전년에 비해 ‘하락할 것이다’라고 전망한 가구의 비율은 9.6%p 증가한 반면, ‘상승할 것이다’라는 가구의 응답 비율은 14.2%p 감소했다.

이번 조사는 통계청과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이 공동으로 전국의 약 2만여 표본가구를 대상으로 조사원 면접과 인터넷조사 등으로 실시한 결과다.

김수환 기자 ksh@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