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경제일반 > 경제일반

기재부, 전문·과학기술 등 고부가 서비스업 인력양성 해법 찾는다

전문과학 고용 비중 한국 9.6%…G7 12.9%
정부, 서비스 전문인력 수급현황 실태조사 연구용역 발주

입력 2024-04-28 15:44 | 신문게재 2024-04-28 4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기획재정부_입간판

기획재정부가 전문·과학기술 등 고부가 서비스업종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전문인력 양성 정책 마련에 나선다.

28일 정부에 따르면 기재부는 도소매 등 저부가 서비스 업종에서 고부가 업종으로 인력이 투입될 수 있는 정책과제 발굴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최근 8500만원 규모의 ‘서비스 전문인력 수급현황 실태조사’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기재부는 한국의 서비스산업 고용 비중은 지난 2016년 이후 70% 수준에서 정체 중이고 노동생산성도 제조업의 47.5% 수준에 불과한 문제가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주요 국가에 비해 도소매 등 저부가 업종의 고용 비중은 높은 반면 전문·과학기술 등 고부가 업종은 상대적으로 저조하다고 지적했다. 주요 7개국(G7)의 정보통신과 전문과학업종의 고용 비중(2020년 기준)은 각각 3.64%, 12.9%이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3.53%, 11.6%이지만 한국은 3.30%, 9.6%로 선진국 대비 낮은 수준이다.

기재부는 또 고부가 업종에서는 인력 부족을 호소하지만 대다수 서비스업 종사자들은 별도의 지식이나 전문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저부가 업종에 치중돼 있는 문제가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정부는 서비스산업 인력이 고부가 업종으로 중점 투입될 수 있도록 인력양성 및 인센티브 체계를 마련해 고부가 서비스업종의 인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노동 생산성 제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 선순환 고리를 형성한다는 계획이다.

기재부는 이 같은 목표를 위해 연구용역에서 서비스 분야 인력 실태조사 및 현황 파악과 업종별 인력수요 전망, 인력 부족 수준 파악을 통해 정책 대상 업종을 확정할 계획이다. 이어 인력양성 수요가 높은 직무·기능(스킬)을 파악하고 인력양성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 과제 등 업종별 단기·중단기 정책과제를 발굴하기로 했다.

 

세종=이원배 기자 lwb21@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