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금융 > 은행

경기침체 장기화에 높아지는 은행 연체율…부실채권 털어도 건전성 ‘고민’

일부 건설사 워크아웃 영향에 연체율 1%대로 상승
민간 신용정보 통한 채권 상·매각…상황 따른 충당금 적립해야

입력 2024-04-29 12:14 | 신문게재 2024-04-30 9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4대은행_최신버전
(왼쪽 위 시계방향으로)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사진=각 사)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은행권 가계·기업대출 연체율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대출에서 일부 건설사 워크아웃 영향으로 건설업 연체율은 1%대까지 올랐다. 전문가들은 민간 신용정보사를 통한 부실채권 상·매각이나 상황에 따른 추가 충당금을 적립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내 4대 시중은행(KB·신한·하나·우리)의 올해 1분기 말 기준 단순 평균 연체율은 0.29%로 집계됐다. 이는 전분기(0.25%) 대비 연체율이 0.4%포인트(p) 상승한 수준이다.

은행별로 보면, △국민은행 전분기 대비 0.03%p 상승한 0.25% △신한은행 전분기 대비 0.06%p 상승한 0.32% △하나은행 전분기 대비 0.03%p 상승한 0.29% △우리은행 전분기 대비 0.02%p 상승한 0.28% 등으로 나타났다.

올해 1분기 은행들은 기업대출 중심으로 원화대출금 규모를 키워왔다. 국민은행 원화대출금 규모는 총 343조7000억원으로 가계대출은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한 167조2000억원, 기업대출은 전년 동기 대비 7.4% 증가한 176조5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신한은행의 전체 원화대출금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5.9% 늘어난 298조1831억원이었다. 가계대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131조1614억원, 기업대출은 전년 동기 대비 9.7% 증가한 167조216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하나은행 원화대출금 규모는 296조683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1% 늘었다. 가계대출은 전년 동기 대비 0.9% 증가한 128조9290억원이었지만, 기업대출금은 전년 동기 대비 14.4% 증가한 167조7540억원으로 나타났다. 우리은행도 전년 동기 대비 7.7% 증가한 315조9780억원의 원화대출금을 기록했다. 가계대출은 전년 동기 대비 4.0% 늘어난 136조560억원이었고, 기업대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4% 증가한 175조433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으로 부문별 연체율에서 가계보다 기업 연체율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은행의 가계부문 평균 연체율은 0.27%로 전분기 대비 0.02%포인트 상승했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포함한 기업부문 평균 연체율은 0.28%로 전분기 대비 0.04%포인트 상승 폭이 더 컸다.

특히 기업대출 연체율을 보면, 신한은행이 전분기 대비 0.07%p 상승한 0.34%로 가장 높았다. 이어 △하나은행 전분기 대비 0.01%p 상승한 0.30% △우리은행 전분기 대비 0.04%p 상승한 0.28% △국민은행 전분기 대비 0.02%p 상승한 0.28%로 나타났다.

특히 신한은행과 하나은행 건설업 연체율은 1%를 넘긴 것으로 확인됐다. 신한은행 건설업 연체율은 전분기와 비교해 0.42%p 크게 상승한 1.18%로 나타났다. 하나은행도 0.8%p 급등한 1.13%를 기록했다. 이어 국민은행 0.14%p 오른 0.41%, 우리은행은 전분기 대비 0.06%p 하락한 0.39%를 나타냈지만, 전체 기업 연체율보다 높은 수준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올해 1분기 일부 건설사 등의 워크아웃 영향으로 인해 연체율이 높아졌지만, 쌓아놓은 충당금도 충분하고 감당 가능한 수준”이라며 “건설업이나 전반적인 기업 대출에 대한 리스크 관리를 계속하면서 모니터링을 지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은행들은 자산 건전성 관리 차원에서 부실 채권을 대거 상각 또는 매각하고 있다. 농협은행을 포함한 5대 은행은 올해 1분기 중에만 1조6079억원 상당의 부실 채권을 상각하거나 매각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88.4% 증가한 수준이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코로나19 시기 만기 연장이나 원리금 상환 유예가 끝나면서 연체율이 상승하는 모습이며, 경기 침체가 장기간 지속되면서 연체율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며 “은행 차원에서 건전성 관리를 위해 부실채권 상·매각을 하고 있는데, 이미 많이 진행된 부분이 있어 민간 신용정보를 통하는 등 다른 방법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김 교수는 “대손충당금을 선제적으로 쌓을 필요는 없겠지만, 상황을 분기별로 보면서 대손충당금을 쌓을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강은영 기자 eykang@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