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금융 > 은행

한은 "미혼인구 늘수록 노동공급 감소…대응 정책 마련해야"

입력 2024-01-08 16:24 | 신문게재 2024-01-09 1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저출산 통계' 한눈에…통계청, 지표 체계 이달
(사진=연합뉴스)

 

미혼인구가 늘어날수록 미래 노동 공급이 감소해 이에 대안 대응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미혼인구 증가와 노동공급 장기추세’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미혼 인구 비중 증가는 고용과 근로시간 측면에서 모두 총노동공급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혼과 비혼화가 진행되면서 미혼인구 비중이 전 연령대에서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인구 전체로 지난 20여년간 미혼인구 비중이 3.2%포인트(p) 늘었는데, 핵심연령층(30~54세) 내 미혼인구 비중은 2000년 7.4%에서 2020년 24.6%로 17.2%p 증가했다.

한은은 미혼인구 증가가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로 상반된 모습을 보인다고 밝혔다. 남성의 경우 미혼인구 비중이 증가하면, 남성의 고용 하락과 실업증가, 평균 근로시간 모두 줄어들어 경제 전체 노동공급 총량을 줄이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반면, 여성의 미혼인구 비중 증가는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평균 근로시간을 높여 경제 전체 노동공급 총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한은은 지난 10년간 변화를 보면 핵심연령층에서 미혼인구 비중 증가로 인한 여성 노동공급 증가보다 남성 노동공급 감소가 커 고용과 근로시간 측면 모두에서 총노동공급을 줄이는 방향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한은은 혼인율을 높여 노동공급 감소를 줄이는 완화정책과 함께 미혼인구 특성에 맞게 근로환경을 개선해 미혼의 노동시장 참여를 높이는 적응정책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한은은 “미혼인구 증가는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확대하는 긍정적인 부분이 있지만, 남성의 노동공급을 줄이고 출산율을 낮춰 미래 노동공급 여력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며 “혼인율을 높이는 것은 미래의 노동공급 뿐만 아니라 현재시점의 안정적인 노동 공급을 확보하기 위해 중요하다”고 밝혔다.

강은영 기자 eykang@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