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금융 > 정책

미 연준, ‘금리 인하 가능성 불투명’ 시사하며 6연속 금리 동결…한국 영향은

한국 물가 상황 등 여전히 불안…기준금리 동결 가능성 높아

입력 2024-05-02 12:35 | 신문게재 2024-05-03 3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기준금리 정책 설명하는 파월 <YONHAP NO-1657 번역> (EPA)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1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연 5.25∼5.50%로 동결한 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추가 금리 인상에 선을 그었지만, 금리 인하에도 신중한 태도를 보여 한국은행도 이달 예정된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할 가능성이 커졌다.

1일(현지시간) 기준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기준 금리를 현행 연간 5.25~5.50%로 유지하기로 만장일치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한국(3.50%)과 금리 차이는 2.00%포인트 수준이다. 연준은 지난해 6월 금리 인상을 멈췄다가 7월 베이비스텝(0.25%포인트 이상)을 밟았지만, 이후 지난해 9월부터 이번까지 여섯 차례 연속 금리를 동결했다.

이날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올해 들어 지금까지 경제 지표는 우리에게 (인플레이션이 2%로 향하고 있다는) 더 큰 확신을 주지 못했다”며 “더 큰 확신을 얻기까지 종전에 기대했던 것보다 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또 “금리 인하는 더 확신 갖기 전까지는 하지 않는 게 적절하다고 판단했다”며 “기존보다 더 오랜 시간일 걸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현재 물가 상황과 금리 인하에 대한 부정적 진단에도 시장이 우려한 더 강한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 발언이나 조치는 없었다.

파월 의장은 “현재 통화정책 수준은 긴축적이라고 생각한다”며 추가 금리 인상 필요성을 일축했고, 연준은 6월부터 월별 국채 상환 한도를 축소하는 등 유동성 흡수를 위한 양적 긴축(QT)의 속도를 줄이기로 결정했다.

 

24050224

한국도 물가 목표 수준인 2% 안착을 확신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날 통계청이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전년 동기 대비)은 2.9%로 3달 만에 3%대에서 내려왔다. 다만, 국제유가와 과일 농산물 가격으로 목표 수준인 2%보다 높은 수준이다.


지난달 12일 이창용 한은 총재는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통화정책결정회의 후 “우리가 예상한 하반기 월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3%인데, 유가 등이 안정돼 경로가 유지되면 하반기 금리 인하 가능성이 있지만 이 경로보다 높아지면 하반기 인하가 어려울 수도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물가뿐만 아니라 환율 흐름도 불안해 한은이 금리 인하를 결정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미국의 조기 금리 인하 가능성이 점차 낮아지고 이란·이스라엘 무력 충돌까지 발생하자, 지난달 16일 원·달러 환율은 장중 약 17개월 만에 1400원대까지 올랐다. 이후 다소 진정됐지만, 여전히 1370~1380원대에 머물고 있다.

이날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아세안+3 재무장관회의·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 출장 중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화상연결로 ‘관계기관 합동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수출 호조세 지속, 내수 반등 등 우리 경제의 펀더멘탈이 견조하다는 점에서 이와 괴리된 과도한 시장변동에는 과감한 시장안정 조치를 시행하기로 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은 금통위는 오는 23일 통화정책결정회의에서 지난달에 이어 11차례 연속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떨어짐에 따라 한국의 금리 인하 시기도 지연될 것으로 분석했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1분기 경제 성장률이 예상보다 높게 발표된 반면, 물가 상승률은 여전히 높은 수준에서 유지하고 있다”며 “수출 호조 영향으로 국내 성장이 예상보다 양호하기는 하지만 고금리에 따른 부담에 내수에 대한 시각은 여전히 우려가 큰 상황으로, 한은의 기준금리 결정을 둘러싸고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안재균 신한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원래 7월이었던 한은 인하 예상 시점을 10월로 옮기고, 연내 2번 정도로 봤던 인하 횟수도 1번으로 줄였다”며 “유가가 오르는데, 성장은 IT(정보기술) 중심으로 회복 중이니까 인하를 서두를 이유가 없다”고 밝혔다.

강은영 기자 eykang@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