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비바100 > Encore Career(일) > Change(귀농귀촌)

귀농, 여유자금과 판로개척이 중요하다

입력 2014-09-19 16:35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귀농 전문가들은 귀농 후 겪는 경제적인 어려움에 대비하기 위해 귀농 전에는 최소 3년 이상의 생활자금을 미리 마련하고, 귀농 후에는 판로개척과 지원정책에 신경쓰라고 조언했다.

귀농 후 현실적인 문제로 부딪히는 가장 큰 문제가 경제적인 어려움이다.

도시처럼 월급이 꾸준히 나오는 것도 아니다. 농사철에 주로 소득이 나오기 때문이다.

귀농도 일종의 직업이기에 땅과 집을 구하는 비용 이외에도 농기구와 시설 등에 대한 투자 비용이 든다. 무작정 귀농한 이들의 경우 사전 준비가 잘 돼있지 않아 더욱 문제가 된다. 그래서 농사를 하다가 생계유지가 어려워 도시로 다시 떠나는 이들도 많다. 귀농에 실패해 농촌에서의 삶을 포기하게 되는 것이다. 방송이나 신문, 지자체가 귀농을 활성화하고 장려하기 위해 많은 장점들을 이야기하고 이슈화하곤 있지만 귀농한 이들 모두가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고민에 대해 전문가들은 귀농 전에 농사를 지으면서 생길 수 있는 경제적인 부분의 어려움을 미리 인식하고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전국농업기술자협회 교육연수팀의 정화영 주임은 “농사를 지으면 최소 5년 정도는 지나야 수입이 발생되고 돈을 모을 수 있다”면서 “그러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귀농 이전에 5년 정도는 쓸 수 있는 생활 자금을 마련해 두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경상북도 농축산국 농업정책과의 황경욱 담당자 역시 농업의 특성상 소득을 내려면 최소 3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경제적인 준비없이 무턱대고 귀농을 하는 것은 너무 위험한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또 전문가들은 판로개척과 함께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을 꼼꼼히 챙겨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19일 경남생태귀농학교의 윤용원 교장은 “제값을 받고 파는 직거래”가 중요하다며 이와함께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정책을 잘 살펴보는 것도 귀농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어떤 작물을 재배하든 도시에 자신의 고객이 있어야 한다”면서 “자신의 농산물을 사갈 수 있는 도시의 가까운 지인이나 고객들을 꾸준히 만들어 가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또 농사만 짓고 군이나 면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모르는 것은 잘못이라며 ”정부나 지자체에서 받을 수 있는 최대한의 지원에 늘 관심을 가질 것을 조언했다. 특히 그는 최근 쌀 개방과 관세화 문제를 예로 들면서 관련법과 지원정책에 귀 기울이지 않으면 혜택은 자신에게 돌아오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혜미 기자 hm7184@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