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금융 > 은행

[창간 8주년] 위기마다 꽃 피운 포용금융…은행권, 어디까지 왔나

[쇠락하는 대한민국, 돌파구를 찾아라] 포용금융, 손 닿을 곳 많이 남았다
취약차주 선별 위한 신용평가 고도화 및 접근성 향상 필요

입력 2022-09-15 06:00 | 신문게재 2022-09-15 14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1406600606
(사진출처=게티이미지)

 

더욱 많은 금융 소비자에게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포용금융’이 은행권을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다. 하지만, 제대로 된 포용금융이 이뤄지기 위해 아직 나아가야 할 길이 많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나왔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정책서민금융 규모는 9조6000억원으로 전년과 비교해 7000억원 늘었다. 여기에 정부는 올해 정책서민금융 규모를 10조원대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처럼 금융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금융 소외계층에게 금융 접근성을 높여 취약 가구에 대한 기회를 확장하도록 도와주는 것을 포용금융이라 부른다.

작년 말 기준 은행권의 새희망홀씨와 햇살론15, 햇살론 youth, 햇살론뱅크 등 주요 서민금융상품 공급 규모는 4조6802억원을 기록했다.

은행권은 △신규대출 143조원 △만기연장 269조원 △이자납입 유예 1567억원 △중소기업·소상공인 금융지원 프로그램 19조6600억원 등의 금융지원을 실시했다.

전문가들은 그동안 금융권이 포용금융에 대한 의욕이 넘쳤지만, 실제 성과는 미미하다고 평가했다.

서지용 상명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은행권의 경우 그동안 예대마진을 많이 올려 오히려 이자장사를 많이 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고, 중저신용자 대상으로 중금리대출을 많이 할 것으로 기대했던 인터넷전문은행도 금융지원이 생각보다 많이 미치지 못했다”며 “포용금융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정부가 강조하는 게 아니라 은행들이 자율적으로 경영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줘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 포용금융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접근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최철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는 “최근 은행을 비롯한 금융기관들이 비용 효율화 측면에서 점포를 없애고 자동화기기를 도입하면서, 비대면 서비스가 많아지고 있는데 고령자와 같은 금융 소비자들을 어려움을 겪게 된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디지털이나 비대면 서비스와 같은 기술을 수용하기 어려운 사람들에게는 오히려 금융서비스를 배제시키고 소외시키는 모습으로 볼 수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강은영 기자 eykang@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