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금융 > 은행

금융권 시선 집중된 ‘BNK회장 인선’, “투명한 지배구조 구축 계기 돼야”

'제왕적 지배구조'로 휘청인 지역대표 금융기업의 차기 회장 인선이 이목이 쏠려
의혹으로 얼룩진 이미지를 회복하기 위해선 투명한 지배구조 구축이 무엇보다 시급

입력 2017-08-13 17:23 | 신문게재 2017-08-14 2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150619_BNK 사옥 (주경)_063_1
BNK금융지주 사옥 전경. (사진제공=BNK금융)

 

BNK금융지주의 최고 경영권을 거머쥘 차기 회장 선출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지고 있다.

엘시티 특혜대출과 주가 조작 혐의로 회장이 구속된 사상 초유의 사태를 맞은 만큼 이번 후임 회장 선임이 BNK금융의 명예회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BNK금융지주 임원추천위원회는 최근 비공개 면접을 진행해 후보군을 3명으로 압축했다. 후보는 내부 출신의 박재경 BNK금융지주 회장 직무대행과 정민주 BNK금융경영연구소 대표, 외부 인사인 김지완 전 하나금융지주 부회장이다.

임추위는 오는 17일 3명의 후보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고 같은 날 차기 회장을 발표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차기 회장 인선은 ‘개방형 공모’로 진행해 관심이 더 높다. 회장 구속 이후 경영공백이 장기화된 원인으로 ‘순혈주의 지배구조’가 지적된 데 따른 조치다.

BNK금융지주 회장은 그간 부산은행은 물론 지주 이사회 의장까지 겸임했다. 사실상 BNK금융 내 권력의 정점에 위치해 있어 독점적 권력에 대한 비판 여론도 적지 않았다. 이 같은 독점적 지배구조로 아무도 지주 회장의 의견에 반대할 수 없었다는 것이 BNK금융 내·외부의 전언이다.

이 때문에 금융권 안팎에서는 회장 선임을 두고 다른 시각차가 나온다. 우선 현 비상상황을 빨리 추스르기 위해서는 내부사정에 정통한 인물을 선임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하지만 이번 기회를 통해 순혈주의를 버리고 새로운 외부 인사를 수혈해 혁신을 이뤄내야 한다는 목소리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다.

땅에 추락한 이미지를 회복하고 지역대표 기업의 면모를 되찾기 위해서는 금융지주 회장과 부산은행장을 분리해 투명한 지배구조를 확립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현재 차기 부산은행장 후보가 빈대인 부산은행장 직무대행과 성동화 부산은행 업무지원본부장, 김석규 경남은행 부행장 등 내부인사 중 한 명으로 압축된 만큼 금융지주는 외부 출신 영입을 긍정적으로 고려해봐야 한다는 것이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지주사 회장은 외부 인사로 부산은행장은 내부 인사로 승진 임명하는 방식이 바람직해 보인다”며 “양쪽 모두 내부인사가 자리할 경우 제왕적 권력 구조로 인해 야기됐던 시세조정 혐의 등 각종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호 기자 elma@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