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국제 > 국제경제

[美中무역전쟁] 트럼프 ‘집착’ vs 시진핑 ‘포커플레이’

中, 무역적자에 집착하는 美에 외견상 양보…일시적 만족감
글로벌무역에서는 ‘팀플레이어’로 보이기
‘일대일로’(一帶一路)로 세계 영향력 확대
5G 등 첨단기술 전속력 육성…美 ‘헤게모니’ 위협

입력 2018-05-23 11:35 | 신문게재 2018-05-23 19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트럼프-시진핑
지난해 11월 중국을 방문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이 베이징의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환영식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얘기를 나누고 있다. (AP=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문재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모두발언을 통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세계 최고의 포커플레이어(world class poker player)”라고 평가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한국과 미국 등을 향해 강경태도로 돌변한 것을 두고 ‘시진핑 배후론’을 제기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중국과의 두 차례 무역협상을 통해 도출된 결과에 대해서도 “불만족스럽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 결과, 이날 뉴욕증시에서는 G2 무역협상의 불확실성이 재부상했다.

CNN머니는 무역문제 등에서 트럼프의 ‘집착’을 다루는 시진핑의 ‘포커플레이’를 분석했다.

중국은 2차 무역협상에서 양보 의향을 나타낸 이후 수입자동차 관세 인하도 발표했다. 약속을 실천으로 옮기는 듯 한 모습이다. 그러나 중국은 정작 큰 이슈들에 있어서는 꿈쩍도 하지 않고 있다고 CNN머니는 지적했다. 중국은 인공지능을 비롯한 첨단기술 분야를 지배하기 위한 행보를 계속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에서 진행하는 인프라스트럭처 프로젝트에는 수천억 달러를 쏟아 붓고 있다.

반면에 트럼프 대통령은 대중(對中) 무역적자 문제에 초점을 맞춰왔다. 경제학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집착’이 방향을 잘못 잡았다고 지적한다.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의 경제자문위원을 역임한 필 레비 글로벌어페어 시카고위원회 선임연구원은 중국이 미국을 잘 다루고 있다고 평가했다.

22일 중국 재정부는 25%에 달하는 자동차 수입 관세를 오는 7월 1일부터 15%로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중국의 이러한 움직임은 미국이 중국과의 무역 분쟁에서 승리했다고 주장하는 것을 부추길 수 있다. 중국 정부는 또한 자국 내에서 자동차를 생산하려는 해외 자동차제조사들에 대한 규제도 제거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러한 변화들은 두 가지 측면에서 중국에 이득이 된다고 레비 연구원은 분석했다.

 

첫째는 미국을 ‘일시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중국의 자동차 수입관세를 콕 집어 비난한 바 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에서 “미국은 중국산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때, 중국은 미국산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매기고 있다”며 “이것이 자유롭고 공정한 무역처럼 들리나? 아니다. 바보 같은 무역으로 들리며 수년간 계속 되어왔다”고 말했다. 중국의 자동차 수입 관세 인하는 트럼프의 불만을 수용한 것처럼 보인다.

두 번째로는 중국이 국제무역에서 팀 플레이어가 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게 만든다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중국은 전기차에서 부터 5G 무선기술에 이르기까지 첨단 기술 분야에서 정부주도적인 산업육성을 전속력으로 유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은 또한 ‘일대일로’(一帶一路: 육·해상 실크로드)를 통해 항구와 철도, 다른 개발프로젝트에 투자함으로써 세계적인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미국의 헤게모니를 정면 겨냥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문제와 대중무역적자라는 두 가지 큰 이슈에 고도로 집중하고 있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고 CNN머니는 분석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6월로 예정된 북미정상회담의 개최와 중국이 계속해서 북한을 압박해주길 원하고 있음을 분명히 나타냈다. 더욱이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불균형 문제를 강조해 중국이 더 많은 미국산 제품을 구입하겠다고 약속한 ‘명목상 승리’를 미국에 주는 것도 허용했다. 전문가들은 이조차도 회의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상호간 무역적자 규모를 조종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김수환 기자 ksh@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