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금융 > 정책

“상호금융·저축은행 등 비은행 건전성, 부동산 가격변동에 취약”

입력 2023-12-28 12:08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부동산시장 내년 하락 전환 관측 우세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모습. (사진=연합뉴스)

 

상호금융·저축은행 등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기업대출 중 절반이 건설업과 부동산업에 쏠리면서 이들 기관의 건전성이 부동산 가격 변동에 취약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금융안정 보고서에 따르면 비은행 기업대출 중 건설업·부동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올해 3분기 말 기준 47.4%로 은행(24.0%)의 2배 수준이다.

비은행 기업대출 규모는 지난 2019년 말 151조원에서 올해 3분기 말 323조9000억 원으로 두 배 이상 급증했다.

한은은 “부동산업 등 특정 업종으로 대출이 쏠리는 것은 자금의 한계생산성을 낮추고 예금취급기관의 건전성이 부동산가격 변동에 지나치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그간의 예금취급기관 자금운용 행태에 비춰 보면 높은 금리 수준이 지속될 경우 비은행의 취약부문 부실자산관리 부담이 증대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저축은행과 상호금융을 중심으로 고정이하여신비율과 대출금리 수준 간 정(+)의 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데다 기업대출의 경우 금리상승기 이전 대출 규모가 늘어난 부동산 관련 업종의 연체율이 최근 상승폭이 확대되고 있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비은행은 자산건전성에 대응하기 위한 손실흡수력 확충이 필요한 상황이라는 판단이다.

한은에 따르면 은행은 3분기 말 고정이하여신(11조5000억 원) 대비 대손충당금(24조7000억 원)과 대손준비금(15조9000억 원)을 양호한 수준으로 적립하고 있다. 반면 비은행은 고정이하여신(34조4000억 원)이 단기간에 급증하며 대손충당금(24조5000억 원)을 웃돌고 있다.

특히 내년 상반기 만기도래 예금규모가 확대되고 고금리 영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자금조달 안정성에 대해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한은은 “특히 비은행 업권의 유동성 부족에 대비해 업권별 중앙회의 유동성 지원 역량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며 “자금운용 측면에서는 일부 부동산 관련 익스포저가 많은 예금취급기관의 경우 적극적으로 리스크를 관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부동산경기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부실자산 상·매각 등을 통한 관리에 소극적으로 임할 경우 부실 규모가 확대될 수 있는 만큼, 비은행은 단기간에 늘어난 부실채권에 대한 충당금 적립 강화를 통해 손실흡수력을 확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수환 기자 ksh@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