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오피니언 > 사설

[사설] 서울·대형사까지 나빠진 건설업계, 해법 없나

입력 2023-11-16 14:16 | 신문게재 2023-11-17 19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부동산 침체 충격의 삼각지대인 건설, 증권, 캐티탈 중 강도가 제일 센 쪽은 건설업계다. 국내 건설수주는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시행사나 조합 시공사 가리지 않고 하강의 연속이다. 고금리 지속과 원자재 가격 급등 여파가 겹쳐 ‘최악의 악’의 시기를 건너고 있다. 건설업은 업황 악화 예상 산업에도 이름이 빠지지 않는다. 일부 회복세라는 통계적 반등은 신뢰할 게 못 된다. 그냥 관망하는 건 하책(下策)이다.

종합건설사 폐업은 지난 2006년 이후 역대 최대치다. 불패신화를 쓰던 대형건설사 아파트까지 청약 미달로 고전하고 있다. 지방에 비해 사업성을 갖춘 서울도 꺾였고 경기·인천 역시 사정은 좋지 않다. 지방에서는 광주와 울산 등 몇몇 곳을 빼고는 대구, 경북, 부산, 대전, 제주 등지에서 일제히 폐업 건수가 늘었다. 내년 SOC예산을 31조원 이상 편성해 달라는 대한건설협회의 대국회 건의를 받아들여야 할 상황으로 보인다. 정부 손을 떠났으니 이제 국회 손에 달렸다.

대형사라고 해서 자유롭지는 않다. 현대건설과 삼성물산 정도를 제외하고는 건설사들의 3분기 영업익은 뚝 떨어졌다. 중견 건설업체의 부도 처리에 따른 피해가 협력업체들로 번지는 상황을 막아야 한다. 일부 금융권의 신규 대출은 최대 10%대 금리다. 대형 건설사 수준의 신용도를 요구하는 등 대출 문턱은 드높기만 하다. 현금 유동성 위기를 겪는 중소·중견 건설사가 위력이 커지는 시한폭탄이 되지 않게 손써야 한다. 건설업체가 쓸 자구책이 별로 없다며 무대책으로 일관해서야 되는가. 원가 상승에 따른 수익성 악화와 분양가 인상 압박이 버거운데 할인 분양이 미분양 해소 대책이라면 이 역시 안타깝다. 건설경기 침체는 경제활력 상실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다각적인 해법을 찾아야 할 때다.

적정 공사비가 확보되면 든든한 원군이 될 것이다. 공사비 급상승으로 원가율이 나빠진 부분은 건설사에 치명적이다. 이대로 두고 볼 수는 없다. 생산체계 개편, PF 사태, 건설투자와 수주 하락을 겪는 건설업계가 폐업 수순을 밟지 않도록 유도하는 방안을 찾아내야 한다. 종합건설사 폐업 건수는 지난해 대비 2배 가까이 높아졌다. 올해 내내 빙하기였는데 4분기부터 빙하기가 시작됐다니 기가 막힌다. 대형 건설사들의 3분기 이후 실적도 뚝 떨어졌으며 서울 소재 건설사조차 악재투성이다. 내년은 또 어찌할 텐가. 고금리와 미분양, PF 부실 등으로 내년 1분기에 특히 부도가 속출할 수 있다. 건설업계를 강타하는 부동산 침체 등의 긴 늪에서 빠져나올 수 있게 가능한 지원을 다해야 한다.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