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비바100 > Encore Career(일) > Challenge(창업‧창직)

[강창동 大기자의 창업이야기] 지방 전통시장 살리려면 상인 세대교체가 필수

입력 2019-05-08 07:00 | 신문게재 2019-05-08 17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20190422010007930_1
강창동 유통전문 大기자·경제학박사

전통시장이 사라지고 있다. 새로운 이야기가 아니다. 10여 년전부터 진행돼온 사실이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 따르면 전국 전통시장 수는 2006년 1610곳에서 2017년 1450곳으로 줄었다. 11년간 대략 10%가 사라진 셈이다. 시장이 통째로 사라진 곳은 지방의 소도시로 갈수록 두드러져 보인다. 노년의 상인들이 줄줄이 은퇴한 여파다.

대도시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던 서울 남대문시장도 2008년 1만1000여개에 이르던 점포수가 2017년 5493개로 절반 이상 사라졌다고 최근 한 매체는 보도했다. 전통시장이 서민 경제생활의 상징적 공간으로 부각되면서 정부도 전통시장 지원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전통시장에서 통용되는 ‘온누리 상품권’ 발행이 대표적이다. 정부나 지자체가 중심이 되어 만만한 공무원이나 대기업에 할당 판매하는 실정이다.

정부는 전통시장 하드웨어 개선을 위해 천장을 만들고, 바닥에 타일을 깔고, 주차장을 만드는데 예산을 주로 투입했다. 2016년 한해만 해도 3600억원이 넘는 국민세금이 전통시장 리모델링에 들어갔다. 역설적으로 전통시장의 하드웨어 개선은 점포를 빌려 장사하는 상인들보다 건물소유주들의 이익에 기여했다는 비판도 나온다. 시장의 외관이 깔끔해졌다는 것을 빌미로 건물주의 임대료 인상이 다반사로 일어나기 때문이다.

전통시장이 사라지는 원인은 단순하다. 손님이 사라지는 까닭이다. 어떤 손님이 사라질까. 전통시장의 충성고객인 노년층이다.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레 고객층에서 탈락한다. 그 자리를 메워줄 젊은 고객들은 온라인쇼핑이 몸에 배어있다. 전통시장에 아무리 정부 예산을 퍼부어도 회생하기 힘든 구조적 이유다.

전통시장에 닥친 메가 트렌드는 다른 분야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의료(한의원)나 종교(불교) 분야에서도 사라지는 고객을 막을 방도가 없어 고민이다.

지방 소도시로 갈수록 전통시장 상인들의 고령화와 점포 공실이 심각한 것으로 보인다. 한때 정부가 정책적으로 검토했던 ‘귀상(歸商) 운동’을 진지하게 검토할 때가 됐다. 귀농·귀촌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 지원이 도시 빈민화와 농촌 소멸을 동시에 막을 수 있는 전략적 돌파구로 떠오르는 시점이다.

마찬가지로 귀상정책은 소상공인들이 경쟁이 극심한 대도시에서 지방 소도시로 생활의 터전을 옮겨 인생 2막을 꾸리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들이 은퇴한 노인 상인의 빈 자리를 메우는 것은 물론 상권의 활력을 되찾을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통시장의 소프트웨어 변화는 상인들이 통째로 바뀌어야 가능한 것이기 때문이다.

강창동 유통전문 大기자·경제학 박사 cdkang1988@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