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산업·IT·과학 > 게임·SW·포털·바이오·과학

뒤쳐진 韓 바이오 헬스케어… 국내 기업 특허 선점 ‘절실’

입력 2019-11-28 08:20 | 신문게재 2019-11-29 5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정부가 미래 성장 동력으로 점찍은 맞춤형 헬스케어 산업이 세계 주요 국가들 대비 기술 경쟁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단계인 맞춤형 헬스케어 시장 선점을 위해 우리 기업들이 특허를 선점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28일 한국지식재산연구원의 심층분석보고서 ‘우리나라 맞춤형 헬스케어 분야의 특허기술 현황 및 시사점’에 따르면 국내 기술 경쟁력은 세계 수준에 비해 떨어지고, 관련 특허활동도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맞춤형 헬스케어란 유전정보, 의료정보, 생활습관 정보 등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수집·활용해 개인에 맞춤화된 진단과 처방 등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지칭한다. 미국과 유럽, 일본 등 주요 국가는 바이오·헬스 산업을 글로벌 저성장 극복의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맞춤형 헬스케어 산업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심층 2
(자료=한국지식재산연구원)

 

우리 정부도 2017년 국가혁신 성장동력 중의 하나로 ‘맞춤형 헬스케어’를 제시하고, 2022년까지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 시스템과 융합 의료기기 개발을 목표로 규제 개선, 기술개발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기술 경쟁력이 주요 국가에 비해 낮다는 분석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IP5 특허청(전 세계 특허출원 85% 이상을 차지하는 한국, 미국, 중국, 일본, 유럽 5개국 특허청으로 구성)’에 2008년 2016년까지 접수된 맞춤형 헬스케어 특허출원은 연평균 약 15.3% 증가했다. 하지만 한국 IP5 특허출원은 1588건으로 미국 2만2741건, 유럽 6949건, 중국 4346건, 일본 3741건에 비해 상당한 격차를 보였다. 즉, 한국 기술 점유율이 여전이 낮다는 설명이다.

세부기술별로는 의학 자료 취급ㆍ처리, 의료 영상 취급ㆍ처리 등과 같은 기술 부문에서 한국 출원인의 특허활동이 비교적 활발했지만 의료 장비 관리ㆍ운영, 의료 보고서 생성ㆍ전송, 인공지능 의료용 앱 등과 같은 기술 부문에서는 특허활동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층 1
(자료=한국지식재산연구원)

 

기술력 수준도 주요 국가와 4년~5년 정도 격차를 보였다. 기술 선도국인 미국 대비 국내 맞춤형 신약개발기술(5.8년), 유전자 정보 이용 질환원인 규명(4.8년), AI 약물 전달 최적화 기술(4.8년), 의료용 로봇기술(4년) 등 주요 헬스케어 기술이 약 75%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평가됐다.

이와 관련 업계는 환자 개인정보 등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구축ㆍ활용하기 위한 법적 기반이 충분히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진단하고 있다.

한국지식재산연구원 임효정 박사는 “맞춤형 헬스케어 시장은 세계적으로 아직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우리 기업이 특허를 통해 기술과 시장을 선점할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라고 강조하면서 “기술개발을 독려할 수 있도록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상용화와 규제 개선을 위한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송영두 기자 songzio@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