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비바100 > Leisure(여가) > 여행

[비바100] 세계 유일한 '인형 제단', 女兒 액운 쫓아준대요

[박용준의 닛폰기] 3월 일본의 재밌고 특이한 풍습과 행사

입력 2020-03-02 06:00 | 신문게재 2020-03-02 15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458326405
여자아이를 위한 축제인 히나마츠리에 쓰이는 히나인형.

 

살랑살랑 봄바람이 불어오는 3월이다. 들녘에는 꽃이 피고 각 지역마다 춘삼월 꽃 축제가 시작된다. 이처럼 따스한 봄바람이 가까워지고 꽃 축제가 이어질수록 젊은이들의 가슴 속에서는 바쁜 일상에서 잠시라도 벗어나고픈 열정이 뜨거워진다. 올해는 코로나19의 영향 때문이라고 하지만 내년에는 꽃피는 3월이 되면 사람들은 여행을 계획할 것이다. 그렇다면 지난회 이어 이웃나라 일본에서 볼 수 있는 특이한 3월의 모습은 어떤 것이 있을까? 앞으로 매년 3월에 일본여행을 계획한다면 반드시 ‘桃の節句(모모노셋쿠/もものせっく)’로 불리는 3월3일 즉 삼월삼짇날 전국에서 열리는 ‘ひな祭り(히나마츠리)’를 체험해 볼 것을 권유하고 싶다. 정확한 연대를 알 수 없지만 중국에서 전해진 5개 절구(節句)인 ‘五節句(고셋쿠/ごせっく)’ 행사 중 하나인 ‘上巳(조우시/じょうし)’에 열리는 행사라지만 수백년간 세월이 흘러오면서 일본에서만 볼 수 있는 전통 축제로 발전했기 때문이다. 또한 춘분을 중심으로 전·후 3일간씩 7일 동안 진행되는 ‘春の彼岸(하루노히간/はるのひがん)’ 역시 일본 전통의식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다.


◇히나마츠리(ひな祭り)·모모노셋쿠(桃の節句)

ひな祭り(히나마츠리/ひなまつり)를 간단하게 설명한다면 “여자 아이가 무럭무럭 자라도록 바라는 ‘여자아이’를 위한 축제”다. 이날은 특히 ‘히나인형’ 이라고 불리는 ‘雛人形(히나닝교/ひなにんぎょう)’들을 붉은 천을 깐 단 위에 장식하고, 단 맛이 나는 술과 음식으로 축제를 치른다. ひな祭り(히나마츠리/ひなまつり)는 桃の節句(모모노셋쿠/もものせっく)라고도 불린다.

그렇다면 ‘ひな祭り(히나마츠리)’는 언제부터 생겨났을까? ‘ひな祭り(히나마츠리)’는 중국에서 전해진 5개 절구(節句)인 ‘五節句(고셋쿠/ごせっく)’ 행사 중 하나인 ‘上巳(조우시/じょうし)’에 열리는 축제다. 계절의 절기를 의미하는 ‘節(셋쿠/ごせっく)’ 무렵에는 예로부터 사악한 기운이 들기 쉽다고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중국에서는 ‘上巳(조우시/じょうし)’에는 강에서 몸을 깨끗이 씻는 습관이 있었지만, 일본에서는 종이 등으로 만든 인형으로 자신의 몸을 쓰다듬고 손발을 옮겨 강에 흘려 사기를 쫓는 행사로 확산되었다고 한다. 이처럼 인형을 강에 흘려보내 사기를 물리치는 이 풍습이, 현재까지 남아서 히나마츠리(ひなまつり)의 행사 중 하나인 강물에 인형을 흘려보내는 ‘流し雛(나가시히나/ながしびな)’의 뿌리라고 한다.

이처럼 행사의 원류는 중국에서 일본으로 넘어 왔다고 하지만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ひな祭り(히나마츠리)’는 일본에서 매년 3월3일에 여자아이의 건강한 성장을 기원하고 미래에 행복해지기를 기원하는 일본만이 가진 전통축제로 변모했다. 다른 명칭으로는 복숭아꽃이 피는 계절이어서 ‘桃の節句(모모노셋쿠/もものせっく)’라고도 하는데 이 날이 되면 일본 전국에서 인형인 ‘雛人形(히나닝교/ひなにんぎょう)’에 벗꽃인 ‘桃(사쿠라)’과 복숭아꽃인 ‘桃の花(모모노하나)’, 찔레장미라고 불리는 ‘雛あられ(히나아라래/ひなあられ)’와 홍·백·녹의 3색으로 만들어 마름모 꼴로 자른 떡인 ‘菱餠(히시모찌/ひしもち)’ 등으로 장식한다. 또한 봄의 벛꽃처럼 화려하다는 ‘ちらし壽司(치라시즈시)’와 대합조개요리인 ‘ハマグリ(하마구리)の料理’를 가족들과 함께 먹으면서 축제를 즐긴다. 또 과거에는 농촌 등 시골에서는 따뜻한 봄을 즐기기 위해 음력 3월3일에 가족이 함께 들놀이를 나가서 도시락과 야외 요리를 먹고 아이들은 ‘화초인형’을 만들던 풍습도 있었다고 한다.

‘ひな祭り(히나마츠리)’는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현재까지 역사적으로 명확하지 않으며 그 기원설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 에도(江戶)시대까지는 음력 3월3일(삼짇날)에 행해졌고, 이후 양력을 받아들인 메이지(明治)시대 때부터 양력 3월 3일에 축제를 열게 되었다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東北(도호쿠)·北陸(호쿠리쿠) 등 눈이 많이 내리고 추운 지역에서는 지금까지도 음력 3월 3일 또는 양력 4월 3일경에 축제를 진행하기도 한다고 한다.

재밌는 것은 ‘ひな祭り(히나마츠리)’는 원래 여자아이를 위한 행사가 아니었다고 한다.

일본 고전에는 ‘平安(헤이안/へいあん)’시대의 ‘京都(교토/きょうと)’에서 이미 平安(헤이안)귀족의 자녀들이 장난치며 놀았던 재밌는 놀이였다고 하는 기록이 있다. 그 당시에는 작은 궁궐형태의 모형에 지붕에 전통 궁중복장의 남녀인형에 장식을 하는 놀이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 때문에 ‘ひな祭り(히나마츠리)’가 ‘ひなあそび(히나아소비)’라고 불리는 것도 처음에는 아이들의 놀이였기 때문이다.

또한 헤이안 시대에는 3월3일인 ‘節句(셋쿠/せっく)’의 날에 종이로 만든 ‘雛人形(히나닝교/ひなにんぎょう)’를 저녁때에 강이나 바다에 흘려보내는 행사를 하기도 했고, 이후 ‘ひな祭り(히나마츠리)’ 인형은 ‘재액막이’의 ‘지킴이’로 모셔지게 되었다.

이후 ‘江戶(에도/えど)시대’에 이르러 여자의 ‘인형 놀이’와 ‘節句(셋쿠/せっく)의식’이 결합되어, 전국에 퍼져 현재의 모습에 이르렀다고 한다.

처음에는 남녀 한 쌍의 ‘雛人形(히나닝교/ひなにんぎょう)’를 만들어 강물에 띄워보냈지만 시대가 변하면서 점점 ‘雛人形(히나닝교/ひなにんぎょう)’가 정교하고 사치스럽게 만들어 졌고, 이후 강물에 띄워보내지 않고 몇 개의 제단에 전통 궁중의상 복장을 한 남녀인형을 세우고 복숭아꽃을 장식한 대를 집 안에 두는 풍습으로 변했다.

제단은 5단 또는 7단으로 만들어 장식하는데 점점 그 가격이 비싸졌고, 현대 주택에는 예전과 달리 장식을 둘 곳이 없어 일반인들은 남녀 한 쌍의 ‘雛人形(히나닝교/ひなにんぎょう)’로 1단만 장식하기도 한다.

이 날은 또 한식 과자인 유과와 비슷한 ‘雛霰(히나아라레/ひなあられ)’ 라는 다양한 색깔의 과자를 먹기도 하고 ‘壽司(스시/すし)’의 일종으로 생선, 달걀부침이나 양념한 채소 등 고명을 얹어 먹는 초밥인 ‘散らし壽司(치라시즈시/ちらしずし)’를 먹고 단 맛을 내는 ‘白酒(시로자케)’를 마시며 축하한다.

특히 이 날 먹는 ‘散らし壽司(치라시즈시/ちらしずし)’는 흔히 잘 알려진 밥 위에 날 생선을 얻은 형태의 ‘江戶(에도/えど)식 &壽司(스시/すし)’가 아니라 ‘五目壽司(고모쿠즈시/ごもくずし)’라고 불리는 식초와 밥을 섞은 후 그 위에 표고버섯과 각종 야채, 어묵, 유부 튀김, 두부, 녹두 등 오곡 등 다양한 재료를 섞어 뿌리고 그위에 계란부침, 김조각, 문어, 새우, 물고기 등 각종 해산물(날생선이 아님), 새싹채소, 사과, 체리 등 과일 같은 다양한 고명을 얹은 초밥이다. 즉, 한국의 비비기 전의 비빔밥과 약간 비슷하기도 하다.
 

806837368
히나마츠리에 쓰이는 히나 인형 모양을 본 떠 만든 삼각김밥.


◇하루노히간(春の彼岸)

올해 3월 20일은 춘분(春分)의 날(日)이다. 일본에서는 춘분(春分)이 국경일이다. 일본에서는 이 날을 중심으로 전후 3일간을 합쳐 총 7일간을 ‘봄의 피안(彼岸)’이라고 불리는 ‘春の彼岸(하루노히간/はるのひがん)’이라고 한다.

‘春の彼岸(はるのひがん)’은 ‘春分の日(슌분노히/しゅんぶんのひ)’를 기준으로 앞의 3일간은 피안에 들어간다는 ‘彼岸の入り(ひがんのいり)’라고 부르고, 중간인 춘분의 날을 ‘彼岸の中日(히간노츄우니치/ひがんのちゅうにち)’, 그리고 뒤의 3일간은 ‘彼岸の明け(히간노아케/ひがんのあけ)’라고 각각 부른다.

우선 춘분인 ‘彼岸の中日(히간노츄우니치/ひがんのちゅうにち)’에는 조상의 묘를 찾아서 성묘를 하며 조상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는 예를 갖춘다. 또 ‘春分の日(슌분노히/しゅんぶんのひ)’을 기준으로 전후 3일간씩은 불교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스스로 깨달음을 얻기 위해 필요한 보시(布施), 지계(持戒), 인욕(忍辱), 정진(精進), 선정(禪定), 지혜(知慧) 등 여섯 개의 수행인 ‘六波羅蜜(로쿠하라미츠/ろくはらみつ)를 하루 한 개씩 수행하는 날이라고 한다. 이런 연유로 일본에서는 ‘春の彼岸(はるのひがん)’ 7일 동안 전국 각지의 사찰마다 불사(佛事)를 진행한다. 사찰에 따라서는 ‘피안(彼岸/ひがん)’ 일주일 동안 법요를 지내기도 하고, 공양제를 지내기도 하며, 시주집을 돌아다니며 제사를 지내기도 한다.

 

ㅇㅇ
하루노히간에 먹는 떡 보타모찌.

또 ‘春の彼岸(하루노히간/はるのひがん)’에는 계절의 꽃인 모란(牡丹)에서 유래한 모란떡 ‘牡丹餠(보타모찌/ぼたもち)’를 차례상에 올리는 습관이 있다.

‘牡丹餠(보타모찌/ぼたもち)’는 찹쌀과 멥쌀을 섞어 쪄서 팥고물이나 콩가루를 묻힌 떡으로, ‘쌀을 반 죽인다’고 해서 ‘半殺し(한고로시/はんごろし)라고도 불리기도 한다.

한편, 봄의 피안에서 ‘彼岸(히간(=피안)/ひがん)’이란 한자 그대로 ‘기슭 너머’라고 일컬으며, 한 마디로 불교에서 이야기 하는 ‘깨달음의 세계’를 뜻한다. 산스크리트어(범어)의 ‘파라미터=바라밀다’라는 말에서 왔다고 한다. 본래는 ‘到彼岸(도피안/とうひがん)’이라 하여 생사의 고통인 현세를 떠나 ‘극락·안락국(極樂·安樂國’)’에 도달한다는 의미다. 불교에서는 현실세계를 ‘此岸(시간(=차안)/しがん)’이라고 하며 고통으로 인해 생사를 헤매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한편, ‘此岸(시간(=차안)/しがん)’의 괴로움으로부터 ‘깨달음을 열고 해방되어’, 닿고 싶은 강 건너를 이상의 세계에 비유해 ‘彼岸(히간(=피안)/ひがん)’이라고도 하고 있다.


박용준 기자 sasori0624@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