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증권 > 투자전략

채무에 의존해 경기회복 가속화하는 미국…증시 섹터별 리밸런싱 유발

입력 2021-03-11 16:06 | 신문게재 2021-03-12 9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US-PRESIDENT-BIDEN-HOSTS-EVENT-WITH-JOHNSON-&-JOHNSON-AND-MERCK-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AFP=연합)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1.9조 달러 신규 부양책이 10일(이하 현지시간) 미 하원에서 최종 타결됐다.

CNBC 등에 따르면 바이든 정부 1호 부양책 법안의 핵심은 가계에 대한 직접 지원에 있다. 1인당 최대 1400달러(약 160만원)의 현금을 지급한다. 연소득 8만 달러 이상의 고소득자를 제외해도 지급 총액이 4000억 달러(약 454조5200억 원)에 달한다.

 

오는 14일 만료될 예정이었던 실업급여의 특례 가산도 9월말까지 연장된다. 이로써 현재 실업자는 각 주(州) 정부에서 받는 주당 평균 370달러의 실업급여 외에 연방정부가 지급하는 주당 300달러를 추가로 받게 된다.

부양책 규모는 총 1조9000억 달러로 지난해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3월부터 12월까지 단행한 1차부터 4차까지의 부양책 규모까지 합하면 총 5조8000억 달러에 달한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약 28% 수준이다.

미국은 지난해 3월 13일 코로나19 사태로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코로나19 위기가 심화된 지 1년의 시간이 지났지만 고용회복은 시간이 걸리고 있다. 실물경제는 여전히 회복 상태가 아니다. 무엇보다도 2021 회계연도(2010년 10월~2021년 9월) 연방정부 적자가 29조 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미국은 코로나19 타격을 극복하기 위해 대규모 부양책을 추진하면서 재원 조달을 국채 발행 등 채무에 의존하고 있고, 시장은 이 과정을 주시하고 있다. 완화정책 기조가 유지되고 있지만 경기회복이 가속화됨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와 새로운 통화정책 체계의 불확실성이 금리상승으로 연결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김성택 국제금융센터 전문위원은 “미국발 장기금리 상승세가 전 세계로 확산하면서 1월까지는 경기회복 가속 전망에 따른 기대 인플레이션(BEI) 상승이 금리상승을 주도해왔으나, 2월 이후에는 통화정책 전환 가능성을 반영하는 실질금리가 명목금리 상승을 견인했다”고 말했다.

김 위원은 “연준이 완화기조를 강조해도 물가, 성장 지표에 따라서는 긴축전환을 강요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우려가 지속적으로 시장에 반영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주식시장은 경제가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나고 있는 이 리플레이션 구간에 뒤흔들리고 있다.

삼성증권 허진욱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올해 초 블루웨이브 이후 미국과 미국외 지역간 경기격차가 확대되고 있다. 최근 장기금리 상승은 실질금리 반등이 주도하고 있으며, 경기전망 개선을 반영한 금리상승은 주식시장에 긍정적”이라면서도 “금리상승은 주식 시장내 섹터별, 국가별 리밸런싱(rebalancing·자산배분 비중 재조정)을 유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수환 기자 ksh@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