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정치 · 정책 > 정책

정부, 성장 유망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키운다

산업 활성화 방안 추진…원격의료 논란·개인정보 보호 등은 난관

입력 2021-08-03 16:25 | 신문게재 2021-08-04 3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ICT융복합공기호흡기<YONHAP NO-3421>
지난달 5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열린 ‘2021 국제안전보건전시회’에서 업체 관계자들이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공기호흡기를 살펴보고 있다.(연합뉴스)

 

정부가 의료 서비스 전반에 필요한 기기·서비스·정보 등을 디지털화 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활성화 방안 마련에 나섰다.

3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산업부는 원격의료 등 디지털 헬스케어를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보고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환자 진료와 치료는 물론, 의료기기, 의료정보(개인정보) 등을 IoT(사물인터넷), 5G 등을 활용해 의료 서비스 전반의 디지털화를 추구한다. 원격의료와 디지털 건강 관리, 첨단 의료기기, 의료 데이터 활용 등이 대표적이다.

정부는 고령화로 인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특히 IoT, 5G 등 ICT(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고성장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산업부에 따르면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규모는 지난 2019년 1060억 달러에서 연평균 약 29% 신장해 2026년 7390억 달러로 커질 전망이다.

이에 따라 기존 단순한 치료에서 예방·관리·모니터링 중심으로의 보건의료 패러다임 전환에 대비하기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산업부는 이를 위해 지난달 말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현황 조사 및 활성화 방안 수립’ 연구 용역을 발주했다.

이 연구용역을 통해 국내 관련 산업 현황을 파악하고 주요 비즈니스 모델, 신규 서비스 수요 파악, 혁신적인 헬스케어 서비스의 시장 진입 촉진 방안 등을 발굴할 계획이다. 기획재정부도 최근 바이오 산업을 신성장 육성 산업 중 하나로 선정하고 활성화 방안을 마련 중으로 부처 간 협업을 통해 활성화 방안 마련이 속도가 붙고 있다.

국민 인식도 좋은 편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지난달 28일 발표한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 대한 국민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81.9%는 디지털 헬스케어가 ‘개인 건강상태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응답자의 86.8%는 디지털 헬스케어의 수요가 향후 현재보다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를 위해선 풀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우선 의료계에서 부정적인 원격의료 논란을 해소해야 한다. 의료계에서는 디지털 헬스케어는 원격의료의 다른 이름으로 보고 있다. 의료계는 진료는 대면을 원칙으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재가 환자, 도서 지역 등에 한정해 원격의료가 제한적으로 도입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KDI 설문조사에서 원격의료는 의료접근성 향상(4.3점/5점 만점)을 가져오지만 의료사고 시 책임소재 불분명(3.8점)과 부정확한 진단·진료 가능성(3.8점)이 있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서 신뢰성 있는 보건의료 데이터 기반 구축(39.5%)과 개인정보 보안 강화(24.4%)를 주로 꼽았다.

의료계는 또 현재도 수도권·대형병원으로의 쏠림이 심한데 디지털 헬스케어가 이 같은 현상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의료정책연구소 관계자는 “인력과 자본 등 여력이 있는 대형병원이 주로 디지털 헬스케어를 도입하게 될 것”이라며 “이럴 경우 수도권·대형병원 쏠림이 더 심해지고 이는 의료 전달체계 붕괴를 가져올 수 있어 신중하고 제한적으로 도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세종=이원배 기자 lwb21@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