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산업·IT·과학 > 전기 · 전자 · 반도체

[반도체의 내일을 본다⑦] 최기창 교수 "반도체 인재양성, 정부 거시 전략이 중요"

교수 정원 늘려야 학생도 늘어...융합대학은 효율적
플랫폼 부재가 약점…우리에게 맞는 소프트웨어 플랫폼 있어야
디자인하우스 등 설계대행사 역할 강화 전망

입력 2023-08-21 06:14 | 신문게재 2023-08-21 6면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흔히 산업의 쌀로 불리는 반도체. 전세계 메모리 반도체의 대부분은 우리 기업들에 의해 생산되고 있습니다. 또,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는 삼성전자, DB하이텍 등 글로벌 10위권 내에 위치하는 등 파운드리와 AI반도체 팹리스 등에서 활약하고 있고요. 수출의 큰 축 역시 반도체 몫 입니다. 가히 반도체로 먹고 사는 ‘반도체의 민족’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에 따라 브릿지경제는 매주 1편 씩 총 10회에 걸쳐 21세기 반도체 산업의 기초 농사꾼들을 만나 현장의 목소리들을 들어 봅니다.<편집자 주>

 

KakaoTalk_20230820_103839376
최기창 서울대학교 시스템반도체산업진흥센터 교수.

 

“반도체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교육부만 움직이는 게 아니라 관련된 부처가 다 움직여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 기조가 하나로 딱 정해지는 거시적인 전략이 중요합니다.”

정부의 반도체 인재 양성 정책 기조에 대한 최기창 서울대학교 시스템반도체산업진흥센터 교수의 일갈이다. 최 교수는 “대만은 글로벌 반도체 제조 기지화를 선언하며 정부의 정책 기조가 하나로 정해져 있어 거기서 세부 정책들이 파생된다”고 설명한 뒤 “인력 관련 정책도 이렇게 맞춰져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한국과 대만의 반도체 인재 정책은 정원에서부터 차이를 보인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대학에서 매년 배출되는 반도체 전공자는 650명, 석·박사급 인재는 150명 수준에 불과하다. 반면 대만의 경우 10년째 1만명의 반도체 인력을 육성하고 있다. 최근에는 대만 정부 반도체법에 따라 민간 기업이 국립대학과 협력한 반도체학과를 개설하며 반도체 분야 학사 정원은 10%, 석·박사 정원은 15%씩 늘린 바 있다.

최 교수는 “교수 숫자가 부족한 게 절대적인 문제”라며 “교수들이 많아지면 배울 학생 수가 늘어나고, 교수 중심으로 운영되는 프로젝트가 많이 생긴다. 결국 연구실이 증가해 대학원생까지 늘어나는 결과가 생긴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를 위해서는 결국 재원이 필요하다”며 한정된 자원을 반도체 분야에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합의가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물론, 한국도 효율적인 정책을 운영하고 있다. 바로 교육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융합대학이다. 예를 들어 경제학을 전공하는 학생이 반도체 관련 과목을 이수하면 졸업을 할 때 반도체에 대해 몇 학점 이수했다는 자격이 주어지는 방식이다.

그는 “이런 제도 같은 경우는 기존 틀 자체를 크게 바꾸지 않고 반도체 쪽 산업에 필요한 인력들을 더 뽑는 것”이라며 “굉장히 유연한 전략”이라고 평가했다.

한국 반도체의 약점으로는 플랫폼을 꼽았다. 전방산업인 스마트폰 등 IT기기와 후방산업인 반도체 양쪽으로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부재해 경쟁에 뒤쳐진다는 주장이다.

최 교수는 “아이팟이 처음 등장했을 때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에는 아이튠즈라는 콘텐츠를 공급해주는 플랫폼을 활용함으로써 콘텐츠 제공자들이 아이팟 생태계에 참여를 하게 한 부분”이라며 “한국은 제품의 하드웨어 성능만 가지고 경쟁을 하다보니 밀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엔비디아가 자체 플랫폼 ‘쿠다’를 통해 생태계를 형성한 것처럼 우리도 우리에게 맞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만듦으로 생태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미래 반도체 업계에 대해서는 디자인 하우스의 역할이 강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자체 SoC(시스템 온 칩)를 갖고 있는 빅테크 기업들이 늘어나며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의 중요성이 대두되자 덩달아 칩 설계 도면을 제조용 도면으로 바꿔주는 디자인하우스까지 성장한다는 것이다.

그는 “보스턴 컨설팅 그룹에서 발표한 전세계 혁신적인 기업 10개 모두 반도체 기업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모두 자체 SoC를 갖고 있었다”며 “설계 대행사인 칩리스(Chipless, 칩이 없다는 의미) 업체들이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울러 “우리 팹리스 기업들이 도약하기 위해서는 학교와 기업 양쪽의 도움이 필요하다”며 “학교는 좋은 인재를 양성하고, 기업은 산학 협력을 통해 인재 양성이 잘 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정부가 뭘 지원해줘야 되느냐 이런 얘기를 하기 전에 민간 스스로 어떤 노력을 했는지 돌이켜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전화평 기자 peace201@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