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 뉴스 > 금융 > 정책

“팬데믹 이후 고용률 상승…생산성은 둔화”

입력 2023-10-24 13:06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밴드
  • 프린트
한은 자료
(자료=한국은행)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경기회복 과정에서 고용률이 빠르게 상승한 반면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팬데믹 이전보다 낮은 수준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4일 한국은행 조사국 고용분석팀은 ‘팬데믹과 고용호조 성장(Job-rich recovery)’ 보고서에서 팬데믹 이후 노동시장 변화를 분석했다.

보고서는 고용호조 성장의 원인으로 △대면 서비스업의 빠른 회복 △근로시간 감소 △근로조건 유연화 및 사회적 통념 변화 △노동비축 등 네 가지를 꼽았다.

팬데믹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면서 대면 서비스업이 가장 큰 타격을 받았지만, 대면 서비스업은 상대적으로 매칭 성공률이 높아 방역대책 해제 이후 노동시장이 빠르게 회복하는데 기여했다.

근로시간은 팬데믹 충격으로 급락한 이후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팬데믹 이후 근로시간 감소는 워라벨(work-life balance)에 대한 선호 강화,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확대, 정부 직접 일자리 정책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근로시간 감소는 결과적으로 취업자수를 늘리는 요인이 됐다.

팬데믹을 거치면서 근로조건 유연화 및 사회적 통념의 변화가 가속화됐다. 여성들의 노동공급에 우호적인 근로환경이 조성되면서 여성고용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면서 노동공급을 제약하는 요인들이 사라졌음에도 기업들은 여전히 인력난을 겪고 있다. 기업들의 인력난은 기본적으로 팬데믹 회복 과정에서 나타난 타이트한 노동시장 상황에 기반한다. 산업간 미스매치 심화도 기업의 인력난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보고서는 “팬데믹 이후 나타난 고용호조 성장 현상은 장기간의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근로자의 선호, 근무여건, 산업구조 등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고용호조 성장 과정에서 여성을 중심으로 노동공급 기반이 확대된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되나, 고용재조정이 원활히 이뤄지지 못한 채 노동시장이 빠르게 회복하면서 노동생산성 증가세가 둔화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노동시장 경직성, 팬데믹 기간 중 고용유지 지원 정책 등으로 인해 산업간 고용재조정이 활발하지 못했던 점은 앞으로도 노동생산성 증가에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김수환 기자 ksh@viva100.com

  • 퍼가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인스타그램
  • 프린트

기획시리즈

  • 많이본뉴스
  • 최신뉴스